(A+) 간호전문직표준 - 간호 과오 사례 및 윤리적 의사결정 사례
- 최초 등록일
- 2024.03.05
- 최종 저작일
- 2023.10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A+) 간호전문직표준 - 간호 과오 사례 및 윤리적 의사결정 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실제 뉴스에 나온 사례 2가지를 제시하였습니다. (간호과오 1개, 간호윤리 1개)
목차
I. 서론
1. 간호 과오
1) 간호 과실과 과오
2) 간호과오의 유형
3) 간호 과오의 예방 방안
2. 간호 윤리
1) 간호 윤리의 중요성
2) 한국 간호사 윤리강령
II. 본론
1. 간호과오 사례
1) 간호과오 사례
2) 법적 근거
2. 간호윤리 사례
1) 간호윤리 사례
2) 윤리적 근거
III. 결론
느낀점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 과오
1) 간호과실과 과오
우리나라의 경우 과오와 과실의 개념을 염격히 구분하지 않고 통상 과실이라는 용어를 포괄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미국과 영국의 경우 불법행위법 상의 과실과 과오를 명확히 구별하고 있다. 즉, 과실은 합리적이고 신중한 태도로 행동하지 않은 잘못으로 정의되며, 과오는 과실의 특수한 형태로시 합리적이고 신중하게 행동하도록 교육받고 훈련된 전문가에게 기대되는 업무표준을 위반하는 경우를 말한다.
2) 간호과오의 유형
간호사고(nursing accident)는 간호행위 과정에서 환자에게 예상외의 원치 않은 인신상의 불상사가 야기된 경우를 총칭하는 것이며, 간호사 과실 또는 간호사건(nursing incident)은 과오 여부의 판단을 전제로 한 개념이 아니다. 간호사건은 간호행위 과정에서 일상적인 틀에서 벗어난 상황으로 환자, 보호자, 직원 등의 인적 손상과 재산상의 손해를 야기했거나, 또는 야기할 수 있는 상황을 말한다. 간호사고는 유형화하면 간호처치, 투약, 수혈, 낙상, 감염, 경과관찰, 보고 및 알림, 기록, 자살기도 환자관리, 사생활 보호, 설명 및 동의, 장치 및 시설관리상의 과오로 구분하고 있다.
3) 간호과오의 예방 방안
(1) 개인적 예방방안
● 대상자와의 좋은 인간관계, 신뢰관계를 형성한다.
● 간호실무표준을 기초로 최선의 간호를 수행한다.
● 사소한 내용이라도 환자 및 보호자의 호소를 가볍게 넘기지 않는다.
● 근거에 의하여 충분한 설명을 제공한다.
● 의료기관의 정책과 관련 규정, 지침을 적어도 1년에 한 번은 자세하게 읽는다.
(2) 조직적 예방 방안
● 법적 의무에 대한 정기적 교육을 시행하되 사례 중심의 문제해결식 교육이 바람직하다.
● 사건보고 및 의사소동체계를 마련한다. 사건보고와 인사고과를 분리하여 처벌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간호사고를 숨기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참고 자료
(책) 최신 전문직 법과 윤리, 남문희·김요나·박효진·이소영·장미경 외 공저, 수문사
(뉴스) 약물 투여 관련 뉴스 2건, 윤리적 딜레마 관련 뉴스 1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