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예비리포트] 액체배지, 사면배지, 고체평판 배지, 멸균, 배지분주
- 최초 등록일
- 2004.10.04
- 최종 저작일
- 2004.04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Abstract
2. Principle and Method
본문내용
1. Abstract
미생물의 배양에 필요한 배지는 배양하고자 하는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기장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미생물의 종류와 배지의 구성성분에 따라 배지제조법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배지는 단순히 미생물의 배양에만 쓰이는 것이 아니라 미생물의 형태와 특징, 생화학적 특성, 당분해 성질, 유전자특성, 미생물의 대사 등의 검사로 미생물을 동정하구 연구등에 이용되기 때문에 배지의 선택, 구성성분, 제조방법에 따라 미생물 실험의 성태가 결정된다. 이번 실험에서는 배지를 제조할 때 주의점과 멸균법, 고체평판 배지 및 사면배지의 제조법을 실험한다.
2. Principle and Method
미생물은 토양, 공기, 물, 음식물, 폐수, 동물의 체내외에서 발견된다. 즉 우리의 주변환경으로 부터 무수히 많은 미생물들을 접하게 된다. 이런 미생물은 크기가 너무 작기 때문에 현미경적 관찰만으로는 그 성상을 확실히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미생물의 연구를 위해서는 미생물을 배양하여야 하는데 배지에는 미생물성장에 필요한 물, 탄소원, 질소원, 무기이온, 아미노산, 비타민 및 발육인자가 적당히 포함되어야 한다. 그 외에도 산소요구성, 배양온도, 배지의 조건등에 따라 세균의 성상이 달라질 수 있는데 여기서 배지는 적당한 영양성분을 혼합해서 미생물을 생존시키고 지속적으로 증식시키기 위해서 인공적인 증식환경이 만들어진 상태를 말한다.
1)배양배지의 준비
배지를 만들 때는 그 조성에 따라 필요한 내용물을 저울 등으로 달아 용기에 담고 혼합하여 물을 가한 후 멸균하는데, 세균 배양에 다양한 배지들의 조성대로 이미 만들어져 탈수시킨 상태로 시판되는 종류도 많다. 탈수배지는 규정 농도로 물에 녹인 후 멸균하여 사용하면 된다
참고 자료
미생물학 실험서 서울 대광문화사 p12~16, 33~44 1980년
일반 생물학 서울 대광문화사 p62~65 1992년
미생물학 실험 고려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