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매체 환경 변화에 따른 뉴스산업의 변화 분석 - 국내 언론사의 뉴스레터 도입에 대하여

뉴스 산업 분석 보고서로 작성한 리포트. 매체 환경이 모바일로 변화함에 따라 뉴스 산업이 변화하고 있는데, 그 중 뉴스레터 도입에 관해 분석한 리포트입니다.
9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4.03.01 최종저작일 2023.05
9P 미리보기
매체 환경 변화에 따른 뉴스산업의 변화 분석 - 국내 언론사의 뉴스레터 도입에 대하여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뉴스 산업 분석 보고서로 작성한 리포트.
    매체 환경이 모바일로 변화함에 따라 뉴스 산업이 변화하고 있는데, 그 중 뉴스레터 도입에 관해 분석한 리포트입니다.

    목차

    I. 서론
    1. 모바일 인터넷 환경으로 뉴스 소비 매체 변화
    2. 주목받고 있는 뉴스레터 산업

    II. 본론
    1. 해외에서 유행한 뉴스레터의 국내 현황 및 실태
    2. 뉴스레터 유행 배경 및 원인
    3. 쟁점 및 문제점 분석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모바일 인터넷 환경으로 뉴스 소비 매체 변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2022년 언론 수용자 조사에 따르면 뉴스나 시사 정보를 확인하는 수단으로 텔레비전을 이용하는 비율과 모바일 인터넷을 이용하는 비율이 76.8%로 동일하다고 한다<그림 1>. 이는 모바일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 전통적인 뉴스 소비 매체 텔레비전과 비등하게 중요한 플랫폼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 매체는 동일한 퍼센티지지만 세대별로, 소득수준별로, 그리고 업종별로 이용률에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그림 2>를 보면 20대(19~29세)는 텔레비전을 이용률도 전 연령대 중 가장 낮고, 텔레비전 뉴스/시사 정보 이용률은 46.5%로 절반도 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인터넷 포털을 통한 뉴스 이용률이 90.5%로, 20대 대부분이 인터넷 포털을 이용하여 뉴스 정보를 얻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46.5%인 텔레비전 뉴스 이용률과 비교해 봤을 때, 2배에 근접한 수치이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뉴스를 소비하는 행태가 변하고 있다. 과거엔 종이신문이나 텔레비전으로 아침과 저녁 1~2차례에 걸쳐 집중적으로 완결된 뉴스를 소비했다면, 현재는 하루에 수시로 관심 있는 뉴스를 체크하며 파편화된 소비를 하고 있다. 이번 분석에서는 이처럼 뉴스 이용 플랫폼이 변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뉴스 산업에 변화가 있는지, 특히 모바일 인터넷이 강세인 현재, 새롭게 등장하거나 변화하고 있는 뉴스 플랫폼이 있는 지 알아보려고 한다.

    2. 주목받고 있는 뉴스레터 산업
    모바일 인터넷을 통한 뉴스 이용 방법에도 포털이나 동영상 플랫폼 여러 형태가 있다. 이 중 트위터나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미디어는 알고리즘을 통한 개인별 맞춤 뉴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인공지능 에디터의 등장은 점차 활자매체 편집자의 역할을 빼앗아 갔고,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상황이 더해지며 미국의 지역 언론사들은 연쇄적으로 문을 닫기도 했다. 이렇게 어려워진 활자매체 산업의 돌파구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 바로 ‘뉴스레터’ 산업이다(신현규, 2021).

    참고자료

    · 김달아 (2021, 2, 24). 유행처럼 돌아온 뉴스레터 바람… 관건은 ‘오픈율. <한국기자협회>. URL: http://www.journalist.or.kr/news/article.html?no=48965
    · 김영주 (2021). 글로벌 신문산업의 위기와 수익구조 변화 (미디어 정책 리포트 2021-1). URL: https://www.kpf.or.kr/front/research/selfDetail.do?seq=591596&link_g_homepage=F
    · 금준경 (2022). ‘나를 위한’ 뉴스의 시대가 온다. <KISO 저널>, 제46호, 12-15.
    · 뉴스레터 (2022, 2, 28). <위키백과>. URL: https://ko.wikipedia.org/wiki/뉴스레터
    · 신현규 (2021). 미국 뉴스레터의 새로운 도전 - 디 애슬레틱과 더 퍽의 사례를 중심으로. <관훈저널>, 통권 제161호, 165-172.
    · 심동녘 (2019). 디지털 콘텐츠 이용현황: 유료 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KISDI STAT Report 19-15). URL: https://www.kisdi.re.kr/report/view.do?key=m*************&arrMasterId=4333447&masterId=4333447&artId=554132
    · 엄지원 (2021). 뉴스레터를 배달하며 내가 배운 것. <관훈저널>, 통권 제161호, 157-164.
    · 전여울 (2021, 11, 9). 지금 뉴스레터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일들에 대하여. <W korea>. URL: https://www.wkorea.com/2021/11/09/%eb%89%b4%ec%8a%a4%eb%a0%88%ed%84%b0%ea%b0%80-%eb%8f%84%ec%b0%a9%ed%96%88%ec%8a%b5%eb%8b%88%eb%8b%a4/?utm_source=naver&utm_medium=partnership
    · 진민정·이성규 (2021). <언론사 뉴스레터: 효과와 성공전략> (연구서 2021-08).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 진민정·이봉현·이선민 (2019). <밀레니얼 세대를 위한 뉴스 전략> (연구서 2019-05).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 최서윤 (2020, 9, 22). 2030 공략했는데..입소문 타고 10대·40대까지 열광. <jobsN>. URL: https://v.daum.net/v/5e314d4cbc6d9b20e0b9fe1a
    · 최진호·박영흠 (2022). <디지털 뉴스 리포트 2022 한국>.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 한국언론진흥재단 (2022). <2022 언론 수용자 조사> (조사분석 2022-01).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 Bresson, V. (2020, 10, 16). Pourquoi la newsletter fait son come-back dans les médias. <la revue des médias>. URL: https://larevuedesmedias.ina.fr/la-newsletter-fait-son-come-back-dans-les-medias
  • 자료후기

    Ai 리뷰
    뉴스레터는 모바일 환경의 대중화와 밀레니얼 세대의 중요성에 따라 뉴스 산업에 등장한 새로운 플랫폼이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5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