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문도, 고양이의 역습”, <MBC>, 2008년 10월 6일,
· http://news.naver.com/vod /vod.nhn? office_id=214&article_id=0000082398§ion_id=102§ion_id2=252>, (2010, 1, 28)
· “여수 거문도 들고양이, 정부기관에서 첫 포획”, <경향뉴스>, 2008년 10월 16일,
· http://news.khan.co.kr /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810161615531 &code=950312>, (2010, 1, 28)
· “집 잃은 애완동물 새 주인 찾아줍니다”, <동아일보>, 2007년 11월 8일,
· http://www.nvrqs.go.kr/Main_Index.asp>, (2010, 1, 20)
· 네이버 백과사전,
· http://terms.naver.com/item.nhn?dirId=1103&docId=12948>, (2010, 1, 28)
· “들고양이 피해”, <한국야생동식물보호관리협회>,
· http://www.kowaps.or.kr/dt/ga. html?searchkey= &searchvalue=&page=1&board_seq=99&mode=read>, (2010, 1, 28)
· “길고양이 살처분이 가져온 무서운 결과, 종로구”, <한국고양이보호협회>. 나타샤의 까칠한 얼룩고양이, <네이버블로그>,
· http://blog.naver.com/neonia7 ?Redirect=Log&logNo=70048076023>, 재인용.
· Roger Tabol, 「London streets cats(The Wild Life of Domestic Cat)」. “길고양이들을 위한 작업”, <Asia for animals 회의 자료>,
· http://cafe.naver.com/ ilovecat.cafe?iframe_url=/ArticleRead.nhn %3Farticleid=80964>, 재인용. (2010,1,28)
· 동물보호법, 「법률 제 8282호」.
· “대전 대덕구, 떠돌이 고양이 개체수 조절사업 ‘완료’”, <미디어다음>, 2008년 10월 28일,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view.html?cateid=1001&newsid=2008 1028175517816&fid=20081028175606825&lid=20081028175517816>, (2010, 1, 28)
· “길고양이는 안락사 시켜야만 하는가”, <네이버 블로그>, 2007년 12월 27일, <http://blog.ohmynews.com/heliophoto/204771>, (2010, 1, 27)
· 이용한, 『안녕, 고양이는 고마웠어요』, 북폴리오, 2009.
· 사라 닐리, 『방랑 고양이』, 한희선 역, 예담, 2007.
· 고다마 사에, 『유기동물에 관한 슬픈 보고서』, 박소영 역, 책공장더불어, 2009.
· 『캣진』, 1~6권, 전자잡지.
· 강남종합동물병원, <http://www.amc119.co.kr/bbs/view.php?id=nos&no=137>, (2010, 1, 27)
· "거문도 들고양이 포획 제거 방침에 대한 반대 의견 및 질의서", <동물보호시민단체>, 2008년 10월 20일, <http://www.withanimal.net/tt-cgi/tt/site/ttboard.cgi?act=read& db=w04&page=1&idx=25855>, (2010, 1,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