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형하, 국토부, 전세사기 피해자 총 3천508명, 한국세정신문, 2023.08.21.
· 엄정숙, 전세사기 특별법, 주요 내용은 무엇, 쿠키뉴스, 2023.06.07.
· 권순정, '미비한' 전세사기 특별법에 피해자들 '성토', 경인일보, 2023.08.23.
· 김민제, [단독] 4년제 대학 45% 등록금 올렸다…14년 동결 기조 균열, 한겨레, 2023.04.17.
· 김형환, 대학가까지 퍼진 ‘전세포비아’…“돈 못 받을까 무서워요”, 이데일리, 2023.05.04.
· 이주원, [심층분석7] 주거복지, 복지에서 권리로… – 다른 권리의 실현 기반으로서 주거 –, 월간복지동향, 2012.01.16.
· 윤호, 주택정책이 아닌 주거복지정책, 기호일보, 2010.10.24.
· 문세영, 1인가구 1000만 육박…청년도, 노인도 나혼자 산다, SBS Biz, 2023.08.22.
· 박상휘, 박혜연, 이정후, [1인가구와 고독사]①복지 사각지대 몰린 5060 위험하다, 뉴스1, 2022.12.21.
· 뉴시스, ‘20년 이상’ 노후 주택, 절반 넘어…주택증가율은 소폭 상승, 동아일보, 2023.07.27.
· 김도우, 전주시, 청년 예술인 임대주택 공급…13가구 80% 저렴, 파이낸셜뉴스, 2020.11.17.
· 조성신, 호반건설, 시흥시·한국해비타트와 사회주택 `알콩달콩 주택` 준공식 개최, 매일경제, 2019.12.18.
· 조병국, 고양지역 첫 사회주택 오는 15일까지 무주택자 대상 신청·접수, 기호일보, 2021.03.03.
· [시행법령] 주거기본법 (시행 2015. 12. 23.), 법률신문, 2015.12.11.
· 김정인, [김정인 칼럼] 보편적 주거복지와 주거관리, 아파트관리신문, 2021.07.22.
· ・단행본
· 봉인식, 「공공임대주택 정책의 주체는 중앙정부인가 지방정부인가」, 『공공임대주
· 택 이렇게 바꿔라』, 학고재, 2021.
· 이종권 외, 『공공임대주택 50년 성과와 과제』, 토지주택연구원, 2013.
· 장경석⋅송민경, 『공공임대주택 공급동향 분석과 정책과제, 입법⋅정책보고서 제 65호』, 국회입법조사처, 2020.12.
· ・연구논문
· 최은영, 김기태, 문규성, 김두겸, 최영은,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 및 주거빈곤 가구 실태 분석」, 한국도시연구소, 2017, 표 3.
· 김성은, 「공공주택 공급 관련 법제에 관한 연구」, 『집합건물법학』 43, 2022.
· 김용창, 「구조적 자산불평등 시대 주거복지 체제 전환 전략」, 『지리학논총』 68, 2022.
· 최유진, 오단이, 「주택 공급의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제도적 고찰: 사회주택을 중심으로」, 『사회적가치와 기업연구』 15-3, 2022.12.
· 진남영, 「서울시 사회주택 3개년 정책 경과」, 「서울시 사회주택 공급활성화를 위한 과제와 제언」, 2018 서울시 사회주택포럼 자료집(2018.10.31.)
· 이희숙, 「사회주택 법제도 현황과 개선 방안」, 『공간과 사회』 76, 2021.
· 황유경, 「파리 사회주택의 현황과 주거에 대한 권리」, 전남대학교대학원 불어불문학과 석사학위논문, 2023.
· 민태욱, 「임대주택관련 법제의 정비방향」, 『토지공법연구』 제72집, 한국토지공법학회, 2015.11
· 민태욱, 「보편적 주거복지 관련 법제의 법적검토」, 『한국토지공법학회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88, 2013.
· 이혁규, 문선영, 「행복주택 정책은 왜 실패하였는가?: 정치적 관리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022.
· 정현, 문상호, 「주거환경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장기전세주택(SHift)과 민간전세주택의 비교를 중심으로」, 『국토연구』 107, 2020.
· 심윤수, 김수웅, 이창석, 「토지임대부 사회주택 공급 활성화방안 연구: 서울시 토지 임대부 사회주택 사업성을 중심으로」, 『주택도시연구』 6-2, 2016.
· 박진호, 「경남 사회주택 활성화를 위한 현황과 과제」, 『경남발전』 149, 2021.
· 배혜은·주서령·홍이경, 「혁신형주거(사회주택, 공동체주택, 역세권청년주택) 현황 및 제도의 비교분석」, 『2020년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자료집』 32-2, 2020.
· 신수임, 「‘사회주택’은 대안이 될 수 있는가」, 『뉴 래디컬 리뷰』 86, 2020.
· 진남영 외,「사회주택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사회적경제 주체에 의한 민간 사회주택을 중심으로, 법무법인(유한)태평양, 재단법인 동천 공동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