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의 표준어와 방언 요약본 및 자료 조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다양한 방언들의 사례와 가치 등의 내용을 표로 구체화하여 정리하였습니다.
목차
1. 표준어와 방언
1.1 표준어와 방언의 개념
1.2 방언의 종류
2. 한국의 표준어
2.1 한국의 표준어 형성
2.2 한국의 표준어 정책
3. 한국의 지역 방언
3.1 지역 방언
3.2 사회 방언
4. 방언의 가치
4.1 지역의 문화를 반영하는 방언
4.2 상품으로 활용되는 방언
4.3 예술작품에 사용되는 방언
4.4 한국어 방언 AI 데이터 구축 사업
본문내용
- 한국어: 각 지역 방언의 총체
- 표준어(標準語, standard language): 한 나라에서 공용어로 쓰는 언어, 한 나라의 공통어에 일정한 규제를 한 이상적인 언어
(한 언어의 어느 방언과도 동일하지 않다.)
: 자연적으로 발생하여 성립되는 경우도 있지만, 보통 인공적으로 정해지게 됨. ⇨ 인공적으로 정하는 경우 - 수도나 문화지의 교양 있는 사람들이 쓰는 언어가 표준어의 기반이 된다.
- 방언(方言, dialect): 일정한 지역에 사는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지역어나 사회적 변종(變種, variety)을 가리키는 말
사투리? 방언?
- 사투리: 한 지방의 언어 체계 전반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그 지방의 말 가운데 표 준어에 없는 그 지방 특유의 언어적 요소를 말하는 것
- 방언: 한 언어의 분화체로서 해당 언어체계 전반을 가리킴
강화도 어딘가에서 “어디 가이꺄?”란 문장을 듣고, 이를 ‘어디 갑니까’와 비교하여 “어미 ‘-이꺄’는 강화도 사투리다”라고 말했다면 이때의 ‘사투리’가 바로 그러한 뜻으로 쓰인 예가 된다. 하지만 강화 토박이의 언어체계 전반이 다 방언이므로 ‘-이꺄’만을 “강화도 방언”이라 함은 적절한 표현이 되지 못한다.
표준어
·여러 지역 방언 중 하나의 지역 방언을 근간으로 다른 여러 방언의 요소를 첨가하여 만든 인공적이고 규범적인 언어
·한 나라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인위적으로 제정한 언어
방언
·한국어의 하위 구성 요소로서 자연적으로 발생한 것
·그 지역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 쓰이는 살아 있는 생활어
- ‘서울말’을 표준어로 삼고 있지만, 이것이 서울말의 우월성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방언 간에는 우열이 존재하지 않고, 표준어는 여러 방언 중 기준에 맞는 요소를 가려 뽑고 다듬은 말이다. 또한 서울말과 표준어는 동일시될 수 없다.
참고 자료
국토교통부 외(2017). 대한민국 국가지도집, 진한엠앤비.
박경래(1998). 「중부방언」, 『새국어생활』, 제8권 제4호, 국립국어연구원, 37쪽.
안주호(2007). 한국어 교육에서의 표준어와 지역방언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한말연구 (21), 143-166쪽.
유은정(2005).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규정의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48-58쪽.
이삼형 외(2015), 독서와 문법2, 지학사, 56쪽.
정승철(2013). 『한국의 방언과 방언학』, 태학사, 23쪽.
조영자, “국립국어원 '2015년 표준어 추가 결과' 발표, ‘이쁘다’, ‘푸르르다’, '찰지다', '말아라', '노랗네' 등”, 나눔일보, 2005.12.14., http://www.nanumilbo.com/sub_read.html?uid=9537
최광민, “내 사투리, 인공지능에게 팔고 돈 번다... 솔트룩스, ‘한국어 방언 AI 데이터’ 구축사업”, 인공지능신문, 2020.11.04., http://www.ai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18252
최명옥(2015). 『한국어의 방언』, 세창출판사, 27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