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약리학(우리나라에서 오남용 되는 약물 사례연구보고서)
실습왕로이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Ⅰ. 서론1. 약물 오남용
2. 우리나라에서 오남용 되는 약물에 대한 연구 필요성
Ⅱ. 본론
1. 선정한 약물에 대한 조사
2. 오남용 되고 있는 현실
3. 무엇이 문제인가?
4. 해결방안은?
Ⅲ. 결론
1. 이론과 현실의 차이를 통한 자아성찰 및 느낀점
본문내용
먼저, 약물 오남용에 대해 연구하기에 앞서 약물 오남용의 정의, 분류 방법, 약물남용의 종류와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약물 남용이란, 약물을 의도적으로 다른 목적 및 부작용을 경험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접착제인 본드나 연료인 부탄가스, 감기약인 러미라 등을 원래의 목적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 아닌 일시적으로 기분을 좋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다음으로 약물 오용입니다. 약물 오용이란, 의도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아니지만, 의사나 약사의 처방 없이 약물을 사용하거나, 지시 사항을 무시하여 적절한 용도로 약물을 사용하지 못하고 잘못 사용하여 피해를 보게 되는 경우입니다. 예를 들면 소화 불량을 치료하기 위해 항생제를 사용하여 오히려 증상이 악화시키는 경우입니다. 이를 통해 약물 오남용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약물 오용과 남용으로 구분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그러면 약물 남용의 종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약물 남용의 종류로는 크게 3가지로, 중추신경억제제, 중추신경흥분제, 환각을 유발하는 물질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중추신경억제제로 알코올, 아편, 헤로인, 모르핀, 날부핀, 본드나 부탄가스 등의 유해화학물질, 신경안정제 등이 있습니다. 중추신경억제제는 중추신경인 뇌를 억제하여 통증을 감소시키고, 이성적으로 잘 억제해 오던 기능들을 마비시켜 평소에 억눌렸던 감정이나 생각들이 거침없이 밖으로 표출되도록 하며 나중에는 호흡중추와 심장박동중추까지 억제하여 사망에 이르게 할 수도 있습니다. 중추신경억제제 안에 억제물질은 내성이 있고 신체적인 금단증상을 일으켜 약물을 중단할 경우 심각한 금단증상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점점 더 약물에 깊게 의존하게 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두 번째는 중추신경흥분제로 필로폰(메스암페타민, 속칭 히로뽕), 코카인, 담배, 엑스타시 등입니다.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Ⅰ(2019). 윤은자 외. 수문사알기쉬운 임상약리학(2020). 이충재 외, 고문사.
상담학 사전(2016). 김춘경. 학지사.
도봉구보건소. https://health.dobong.go.kr/Contents.asp?code=10004964
의약품안전나라. https://nedrug.mfds.go.kr/bbs/11/1
김경인(2021. 02). "알코올 중독 50대, 이웃에 흉기 난동…노인 2명 참변". 연합뉴스TV
https://www.yonhapnewstv.co.kr/news/MYH20210205018000641
배준우(2019. 01). “술독에 빠진 청소년들…10대 알코올 중독 이유 따져보니”. SBS뉴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085776&plink=ORI&cooper=NAVER&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장보경(2019. 06). “마약류 의약품 사건 속출…"관리·감독 부실". 연합뉴스TV
https://www.yonhapnewstv.co.kr/news/MYH20190612005000038
한민구(2019. 10). “마약류 남용의 실태와 대책보고서”. 한국과학기술한림원
https://kast.or.kr/kr/space/publication.php?bbs_data=aWR4PTE3MTk5JnN0YXJ0UGFnZT0xMiZsaXN0Tm89MTExJnRhYmxlPWNzX2Jic19kYXRhJmNvZGU9bW9rJnNlYXJjaF9pdGVtPSZzZWFyY2hfb3JkZXI9||&bgu=view
채수미(2015.10). “약물오남용의 실태와 개선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http://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5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