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중환, 「삼국유사 기이편 고조선조에 인용된 위서에 대하여」, 『대구사학』12-13, 1977.
· 권태억, 「〈응제시주〉 해제」, 『한국문화』3, 1982.
· 노태돈, 「삼한에 대한 인식의 변천」, 『한국사연구』38, 1982.
· 서영대, 「단군숭배의 역사」, 『한국학』10-1, 1987.
· 이옥, 「단군신화에 나타나는 몇가지 의문점」, 『동방학지』54-56, 1987.
· 서영수, 「고조선의 위치와 강역」, 『한국사시민강좌』2, 1988.
· 허흥식, 「설암추붕의 묘향산지와 단군기사」, 『청계사학』13, 1997.
· 서영대, 「전통시대의 단군인식」, 『고조선단군학』1, 1999.
· 윤경수, 「단군신화의 신화성과 역사인식」, 『고조선단군학』2, 2000.
· 박대재, 「《삼국유사》 고조선조 인용 《위서》론」, 『한국사연구』112, 2001.
· 신종원, 「단군신화에 보이는 곰[熊]의 실체」, 『한국사연구』118, 2002.
· 신종원, 「단군신화에 보이는 수목신앙」, 『한국사학사학보』8, 2003.
· 이성규, 「고대 중국인이 본 한민족의 원류」, 『한국사시민강좌』32, 2003.
· 조법종,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단군 인식 검토」, 『고조선단군학』12, 2005.
· 서영수, 「고조선의 발전과정과 강역의 변동」, 『백산학보』76, 2006.
· 김성환, 「고려시대 단군관의 역사적 정립」, 『한국사학보』56, 2014.
· 오강원, 「고려~조선시대 단군 전승의 변형과 확대, 그리고 역사화 과정」, 『한국사학보』56, 2014.
· 김성환, 「고조선 건국신화의 계승과 고조선 인식」, 『동북아역사논총』47, 2015.
· 문치웅, 김은진, 「단군왕검을 이은 태자부루의 존재성과 동부여 해부루와의 구분」, 『고조선단군학』33, 2015.
· 박대재, 「단군기원과 『고기』」, 『한국사학보』61, 2015.
· 최강식, 「환웅천왕과 단군왕검에 대한 역사민속학적 고찰」, 『한국사학보』60, 2015.
· 이정빈, 「단군신화의 비댕치적 세계관과 고조선의 왕권」, 『인문학연구』31, 2016.
· 이경숙, 문치웅, 「『삼국유사』 「고조선 조」 기록에서 ‘고’의 의미와 그 시간적 범위」, 『한문학논집』60, 2021.
· 김성환, 「삼국유사 고조선조의 고기론」, 『선사와 고대』69, 2002.
· 선석열, 「단군-부루-주몽 계보의 역사성과 하백녀」, 『한일관계사연구』77, 2022.
· 선석열, 「일인 관학자들의 단군신화의 불가조작설과 그 비판」, 『한일관계사연구』76, 2022.
· 신세리, 「‘蒜’자의 자형과 의미 고찰」, 『고한자와 동아시아 문명 발표집』, 홍익재단, 2022.
· 윤승준, 「시라토리 구라키치(白鳥庫吉)의 단군신화 연구 비판」, 『한국고대사탐구』40, 2022.
· 전진국, 「고조선 건국 신화의 환인과 환웅-부정론에 대한 비판과 실체에 관한 탐구-」, 『한일관계사연구』77, 2022.
· 전진국, 「단군신화의 불교적 윤색과 ‘단군’ 명칭에 관한 학술사적 검토-白鳥庫吉의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탐구』40, 2022.
· 선석열, 「서하와 비서갑의 또 다른 단군신화」, 『한일관계사연구』80,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