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생명과학보고서_Primary Cell Culture & Sub culture(아주대 전공실험2)

"생명과학보고서_Primary Cell Culture & Sub culture(아주대 전공실험2)"에 대한 내용입니다.
9 페이지
워드
최초등록일 2023.09.13 최종저작일 2022.11
9P 미리보기
생명과학보고서_Primary Cell Culture & Sub culture(아주대 전공실험2)
  • 미리보기

    목차

    1. 실험목표
    2. 실험원리
    3. 실험 방법 및 재료
    4. 실험 결과
    5. 고찰
    6.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 primary cell culture의 원리를 이해하고, 쥐의 간세포를 이용해 primary cell culture를 진행해본다.
    - Sub culture의 방법을 익힌다.

    [2] 실험 원리
    primary cell culture는 불멸화 된 세포주와는 반대로 다세포 유기체에서 갓 얻은 세포의 생체 외 배양이다. 생물체로부터 분리한 세포, 조직 및 기관을 재료로 하여 직접 배양하는 것을 말하며, 첫번째 sub culture 전 단계까지를 의미한다. 조직으로부터 가장 처음 배양된 세포를 1차 배양 세포라고 하며, 생체 내와 가장 유사한 형태를 보이고, 제한된 수명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primary cell culture은 세포주보다 생체 내 조직을 더 대표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 배양에 사용되는 세포는 조직이나 기관으로부터 떼어내거나 화학적으로 분해를 하거나 하여 얻는다. 이 세포들을 적절한 배지가 들어있는 유리 용기나 플라스틱 용기에 옮겨서 자라도록 한다. 이렇게 키우면 세포의 성장속도는 보통 낮고 이질적인 경우가 많다. 또한 바이러스나 박테리아의 의한 잠재적인 오염도 치명적인 단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세포들은 여전히 세포주에 비해 선호되는데 그 이유는 세포주에 비해 그 조직에 있는 세포 형태들을 잘 대표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윤리적인 측면에서도 자유롭다. 1차 세포 배양에서 세포의 형태적 구조는 몇몇 유형이 있다.
    ① 상피(epithelium) 유형이들은 다각형 형태이고 편평하게 보인다. 그 이유는 세포들이 기판에 부착해서 연속된 얇은 층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② 에피테로이드(epitheloid) 유형이들은 둥근 외형을 가지며 상피 유형과 달리 기판에 부착하지 않고 얇은 층을 형성하지도 않는다.
    ③ 섬유아세포(fibroblast) 유형이들은 각이 져 있고 길쭉한 형태로 단단하게 패킹된 세포가 아니라 그물망처럼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참고자료

    · 강신성 외 11인 역. (2017). Vander’s 인체생리학 제14판. ㈜라이프사이언스. pp.164-169
    · Gagnieur, L., Cheval, J., Gratigny, M., Hébert, C., Muth, E., Dumarest, M., & Eloit, M. (2014). Unbiased analysis by high throughput sequencing of the viral diversity in fetal bovine serum and trypsin used in cell culture. Biologicals, 42(3), pp.145-152.
    · 네이버 지식백과(생명과학대사전). 1차배양. 2014. https://terms.naver.com/
    · 네이버 지식백과(분자생물학사전). 조직배양. 2020. https://terms.naver.com/
    · 네이버 지식백과(두산백과). 불멸화세포, 계대배양, EDTA. 2020. https://terms.naver.com/
    · 네이버 지식백과(화학대사전). 페놀레드. 2001. https://terms.naver.com/
    · 네이버 지식백과(건강백과). 간.2020. https://terms.naver.com/
    · Wikipedia. Primary cell culture. 2020. https://en.wikipedia.org/
    · BRIC(생물학연구정보센터). Serum-free media 2006. www.ibric.org/
    · 조수현. 천연식물추출물(RIP)이 쥐의 간섬유화 치료에 미치는 영향. The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8, No.2, December 2006, pp. 41-59.
  •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Primary Cell Culture
      Primary cell culture is a fundamental technique in cell biology and biomedical research. It involves the isolation and cultivation of cells directly from tissues or organs, preserving the origin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 cells. This approach allows researchers to study cellular processes, test drug candidates, and model diseases in a controlled laboratory environment. The challenges of primary cell culture include maintaining the viability and phenotype of the cells, preventing contamination, and optimizing culture conditions. However, when done properly, primary cell culture provides invaluable insights into cellular behavior and can lead to advancements in our understanding of biological systems and the development of new therapies.
    • 2. Sub Culture
      Subculturing, also known as passaging, is a crucial step in the maintenance and expansion of cell cultures. It involves the periodic transfer of cells from a crowded or depleted culture vessel to a new vessel with fresh growth medium. This process allows the cells to continue proliferating and maintain their desired characteristics. Proper subculturing techniques, such as appropriate cell detachment methods, seeding densities, and medium replenishment, are essential for ensuring the health and consistency of the cell culture. Subculturing also enables researchers to generate larger quantities of cells for various experimental applications, such as drug screening, tissue engineering, and cell-based therapies. Mastering the art of subculturing is a fundamental skill in cell biology and biotechnology.
    • 3. 간세포 배양
      간세포 배양은 간 질환 연구와 간 세포 기반 치료법 개발에 매우 중요한 기술입니다. 간세포는 다양한 대사 기능을 수행하며, 간 질환의 병태생리를 이해하고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그러나 간세포 배양은 까다로운 과정으로, 세포의 분화 상태와 기능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3D 배양, 생물반응기 배양, 유도 pluripotent 줄기세포 기반 접근법 등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간세포 배양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 발전을 통해 간 질환 연구와 간 세포 치료법 개발이 크게 진전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4. 불멸화 세포주
      불멸화 세포주는 세포 생물학 연구와 생명공학 응용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도구입니다. 이러한 세포주는 유한한 수명을 가진 일반 세포와 달리 무한 증식 능력을 가지고 있어, 장기간 실험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불멸화 세포주는 암 연구, 약물 스크리닝, 유전자 발현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재현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불멸화 과정에서 세포의 유전적, 표현형적 특성이 변화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실험 목적에 맞는 적절한 세포주 선택과 함께 결과 해석 시 이러한 특성 변화를 고려해야 합니다. 불멸화 세포주는 세포 생물학 연구와 응용 분야에서 여전히 필수적인 도구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 5. 세포배양 시약
      세포배양 시약은 세포 배양 실험의 성공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적절한 배지, 혈청, 성장 인자, 항생제 등의 선택과 사용은 세포의 생존, 증식, 분화 등 다양한 세포 특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최근 들어 세포 배양 시약의 품질과 표준화가 크게 향상되어, 실험 재현성과 신뢰성이 높아졌습니다. 또한 무혈청 배지, 유전자 조작 성장 인자 등 새로운 세포 배양 시약이 개발되면서 세포 배양 기술이 크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약 기술의 발전은 줄기세포 연구, 조직 공학, 세포 치료제 개발 등 첨단 생명공학 분야에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 자료후기

      Ai 리뷰
      primary cell culture의 특징과 한계를 잘 설명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과 활용 사례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