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혜영, 『청소년 복지론 2판』, 신정, 2020.
· 김영민, 노경주 , 『청소년 학습이론 및 지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
· 조복희, 도현심, 유가효, 『인간발달 제4판』, 교문사, 2010.
· 황현주, 유은정, 박혜정, 서은경, 신현정, 정다운, 『정신건강』, 파란마음, 2019.
· 고영희, 「초등학교 고학년의 사춘기 초기적응을 위한 교육과정기준 개발 연구」. 고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2013
· 김규리, 「청소년 문제도박 영향요인 : 또래지지의 조절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 김교헌, 「도박행동의 자기조절모형: 상식모형의 확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11(2), 2006, 243-274.
· 김민우, 「문제 도박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김성봉, 「문제행동청소년의 가족경험에 대한 통합적 접근」. 원광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12
· 김영화, 신성만, 이혜주, 「청소년 인터넷 도박행동의 실태 및 심리적 특성과 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4), 2012, 927-941.
· 김현주, 「청소년 도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김혜련. 초등학생의 또래동조성과 집단따돌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권선중, 김교헌, 강성균, 「아동용 도박중독 예방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학생생활연구, 32, 2007. p.22-43.
· 남전아, 채규만, 「스트레스와 청소년 도박행동의 관계 충동성의 매개효과와 모 애착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3), 2012, 643-657
· 남전아. 「스트레스와 청소년 도박 행동의 관계 –충동성의 매개효과와 모애착의 중재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신미숙, 「청소년의 또래동조성 및 자기표현과 학교폭력 방관자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외모만족도’의 조절효과」.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조혜정, 박근우, 「청소년의 도박행동 발생시점과 관련된 연령집단별 생태체계요인 비교: 비연속시간 생존분석의 적용」. 청소년학연구, 24(10), 2017, 309-338.
· 엄명용, 「아동학대와 청소년 비행 간의 관계: 가족 내 부모지지 및 감독의 완충효과 검증」, 한국가족복지학, 8, 2001, 149-178
· 윤진아, 「부모의 양육태도 및 부모와의 애착이 청소년기 또래애착과 공격 성에 미치는 영향」. 한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이인혜, 「카지노게임 선호유형, 성별, 도박심각성과 심리적 특성 간의 관계 비합리적 도박신념과 충동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2),2014. 351-378.
· 이흥표, 「비합리적 도박신념, 도박동기 및 위험감수 성향과 병적 도박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 이흥표, 「비합리적 도박신념이 병적도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2), 2003, 415-434.
· 장정연(2011). 청소년 사행성게임행동에 관한 연구 선별도구(SOGS-RA) 평가와 영향요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채수성,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도박행동에 미치는 영향 :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유은진, 「청소년 약물 및 도박 중독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학술지 게재 논문 중심으로(2009-2018)」, 한국교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문은식(2002).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행동에 관련되는 사회 심리적 변인들의 구조적 분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한미현,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 지각과 행동문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 홍정은, 청소년 도박에 관한 연구 동향분석: 대상, 하위요인, 예방 및 대안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 Bergevin, T., Gupta , R., Derevensky, J., & Kaufman, F.(2006). Adolescent Gambling: Understanding the Role of Stress and Coping. Journalo of Gambling Studies, 22(2), 195-208
· Griffths, M. ,& Wood, R. T. A.(2000). Risk factors in adolescence:The case of gambling, video game playing, and the internet. Journal of Gambling Studies, 16(2-3), 131-142
· Langhinrichsen-Rohling, J., Rohde, P., Seeley, J.R., & Rohling, M.L.(2004). Individual, Family, and Peer Correlates of Adolescent Gambling.Journal of Gambling Studies, 20(1),23-46
· 권선미, 「[청소년 도박의 뒤끝]④ 친구 따라 중독되는 아이들…출구는 '감감'」, 연합뉴스, 2020.08.22.
· 김다솜, 청소년 울리는 5000% 고금리 사채의 정체는 ‘대리입금’? , 데일리팝, 2022.09.28.
· 김민규, 「“청소년 도박 장소로 학교 만한 곳이 없어요”…」, 한국일보, 2019.09.24.
· 이새은, 「도박에 빠지는 청소년…게임으로 인식해 피해 키워」, 데일리굿뉴스, 2022.10.24.
· 하지수, 「[조선에듀 오피니언]판 커진 청소년 도박, 예방교육도 변해야」, 조선에듀, 2020.03.18.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청소년 도박중독 진료 현황』. 2022
·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 『청소년 도박문제 실태조사』,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