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아 원색세계대백과사전> 제 29권, 동아출판사, 1990, p. 164 ∼ 165
· <내가 아는 것이 진리인가> 제 1장, 김창호, 웅진닷컴, 1995, p. 21 ∼ 23
· http://www.educast.co.kr/nteen/lr_rl_04_b32.htm, 실용설: "소 발자국을 따라가니 인가가 나오더라"
· <러셀 역설과 과학 혁명 - 과학혁명은 있는가>, 김상일, 솔, 1997, p. 15
· <야누스>, 아서 케슬러 (최효선 역), 범양사, 1993, p. 126
· http://www.masilga.co.kr/philosophy/Concept/synconcepts04.asp#1에서 4. 근대성 La modernite
· <포스트모더니즘>, 신국원, IVP, 1999, p. 132 참조
· <포스트모더니즘의 철학적 이해>, 이진우, 서광사, 1993, p. 11
· 이광래, "미셸 푸코-언어, 지식 그리고 권력",『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구조주의』, 김욱동 편, (서울:민음사, 1991), p. 141.
· <동아 세계 원색 대백과 사전> 제 29권, 동아출판사, 1990, p. 233
· <희랍철학 입문>, W.K.C. 거스리 지음/ 박종현 역, 서광사, 2000, p. 147, 148
· <희랍철학 입문>, W.K.C. 거스리 지음/ 박종현 역, 서광사, 2000, p. 133
· <열린 사회와 그 적들 I>, 칼 포퍼/이한구 역, 1999, p.6
· <열린 사회와 그 적들 I>, 칼 포퍼/이한구 역, 1999, p.13-14
· <열린 사회와 그 적들 I>, 칼 포퍼/이한구 역, 1999, p. 127
· <포퍼의 열린 사회와 그 적들>, 신중섭 저, 자유기업센터, 1999, p. 345 ∼ 347, p. 358 ∼ 361 참조
· <포퍼의 열린 사회와 그 적들>, 신중섭 저, 자유기업센터, 1999, p. 263 ∼ 266
· <위대한 CEO 제자백가의 경영정신>, 나채훈, 지오북스, 2003, p. 251 ∼ 252
· <마음을 여는 철학이야기>, 최흥순, 소피아, 2002, p. 13
· <공자, 노자, 석가>, 모로하시 데쓰지/심우성 역, 동아시아, 2001, p. 169
· http://my.netian.com/~hs9511/history3.htm
· 신 존재 증명(Proslogion), 안셀름 지음/ 전경연 옮김, 한들출판사, 2000, p. 21
· <다원주의 사회에서의 복음>, 레슬리 뉴비긴/허성식 역, IVP, 1998, p. 395
· <파스칼의 팡세 - 생각하는 갈대>, 파스칼/박철수 편역, 예찬사, 2000, p. 133
· <파스칼의 팡세 - 생각하는 갈대>, 파스칼/박철수 편역, 예찬사, 2000, p. 131
· <파스칼의 팡세 - 생각하는 갈대>, 파스칼/박철수 편역, 예찬사, 2000, p. 1001
· http://user.chollian.net/~kwangjc/proslogion.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