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실험보고서-stroop효과
- 최초 등록일
- 2004.05.06
- 최종 저작일
- 2004.05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초록
서론
방법
결과
논의
본문내용
Stroop(1935) 실험에 나타난 대립되는 두 가지 효과에는 스트룹 간섭 효과(Stroop Interference Effect)와 스트룹 촉진 효과(Stroop Facilitation Effect)가 있다. 스트룹 간섭 효과란 색깔 단어와 그 단어가 프린트된 잉크의 색이 일치 하지 않은 경우(불일치 조건), 그 단어의 색을 말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현상을 말한다. 반면, 스트룹 촉진 효과란 색깔 단어와 그 단어가 프린트된 잉크의 색이 일치하는 경우(일치 조건)에 그 단어의 색을 말하는데 시간이 짧게 걸리는 현상을 말한다. Stroop의 실험에서 위와 같은 두 가지 현상이 발견 되었는데, 두 효과에서 나타난 정보 처리에 관한 시간적 차이는 크게 두 가지 가설로 설명 할 수 있다. 첫번째로, 상대적 속도 가설(relative speed of processing)로 설명 가능 하다. 이 가설은 단어 읽기가 색명명 보다 정보의 처리에서 더 빠르다는 사실에서 시작한다. 단일 자극의 두 속성(단어 읽기와 색명명)은 반응 단계 전 까지는 방해 없이 상이한 속도로 처리되다가 반응 단계에서 각 속성에 대한 반응이 다를 때 둘 사이에 경쟁이 일어나 속도가 빠른 반응(단어 읽기) 속도가 느린 반응(색명명)에 대해 간섭(interference)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참고 자료
오은미 (1992). 자극-반응 양립성이 스트룹(Stroop) 과제수행에 미치는 효
과. 석사학위청구논문, 연세대학교.
오은미, 정찬섭 (1992). 자극-반응 양립성이 스트룹(Stroop) 과제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및 인지, 4, 105-114
Stroop, J. R. (1935). Studies of interference in serial verbal
reaction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12, 643-662.
Stroop 효과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