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어읽기와 색깔명명에 대한 스트룹효과(stroop effect)
- 최초 등록일
- 2007.04.03
- 최종 저작일
- 2006.12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인지심리학 실험레포트입니다. 직접 실험하였습니다.
목차
초록
서론
방법(피험자,도구,자극,절차)
결과
논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선택적 주의는 하나의 자극을 무시하면서 다른 하나에 주의를 집중하는 능력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때때로 우리는 한 번에 양 측면에서 동시에 정보를 처리하고 선택하는데 실패한다. 한 과제에 적절한 반응이 다른 과제의 자극에 의해서 활성화되면, 두 과제들 간에 간섭 또는 촉진을 일으킨다. 이러한 현상으로 가장 잘 알려진 예는 Stroop Effect이다.
한 공간위치에서 단일자극의 상이한 속성들이 각기 다른 정보 원천을 표상 한다면, 반응갈등과 중복이익의 효과가 증폭되어질 것이다. 실제로 여러 연구들은 이러한 경우를 보여준다. 많은 연구자들은 Stroop 과제를 다양하게 사용했으며 여기에서 피험자에게 가능한 한 빠르게 일련의 색채 자극의 색을 명명하도록 했다. 전형적인 통제조건에서 자극은 채색된 상징으로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어, 같은 색으로 된 네 줄의 x들). 결정적인 갈등조건에서 자극은 인쇄된 잉크 색과 대응되지 않는 색채 이름이다(파란색 잉크로 인쇄된 빨강이라는 단어). 그 결과는 극적이다. 자극의 의미적 속성이 피험자에게 처리하도록 제시된 정보(빨강이라는 글자가 파란색으로 인쇄된 것)와 부합될 수 있는 반응을 활성화시키기 때문에 잉크색의 보고를 통제조건과 비교했을 때 매우 느리고 어설펐다. 입에서 단어 ‘빨강’과 ‘파랑’을 동시에 발음할 수 없는데도 단일 자극의 상이한 속성들에 의해 동시에 발음되도록 처리된다.
왜 색깔 말하기 중에 무시되어야 할 단어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는가? 오랫동안 두 가지 가능한 해답이 제시되어 왔다. 두 가지 모두 동시에 색깔과 단어가 처리된다는 ‘병렬적 처리’ 가정을 기반으로 한다. 상대적 처리 속도(Morton & Chambers, 1973)는 응답 단계에서 병목 된다고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오직 한 시점에 하나의 대답이 가능하며, 만약 잘못된 측면의 처리가 응답단계에 최초로 들어오면 그것을 제거하고 올바른 측면으로 재구성하기 때문에 간섭효과가 발생한다. 놀랄 것도 없이, 단어들은 우리가 읽기를 더 많이 연습하기 때문에 색깔 말하기보다 빨리 처리된다(Fraisse, 1969, 재인용). 단일 자극의 두 속성(단어읽기와 색깔명명)은 반응 단계 전까지는 방해 없이 상이한 속도로 처리되다가 반응 단계에서 각 속성에 대한 반응이 다를 때 둘 사이에 경쟁이 일어나 속도가 빠른 반응(단어읽기)이 속도가 느린 반응(색깔명명)에 대해 간섭(interference)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따라서 기본적인 불균형 -단어는 색깔 말하기를 간섭하지만 색깔은 단어 읽기를 간섭하지 않는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