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상호텍스트 intertextuality, 패러디 parody, 패스티쉬 pastiche 등의 용어가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새로운 글쓰기의 기법으로 각광받아 가면서, 마치 햇살의 한 이면에는 어두운 음영이 드리워지는 것처럼 모방과 표절에 대한 시비 또한 끊이지 않고 있다. 이러한 논쟁은 다른 그 어느 분야보다도 인간의 창조적 영감과 독창성이 필요하다고 여겨온 문학, 예술에 있어서 과연 모방이란 용인되어질 수 있는 것인가라는 근본적인 문제에서부터 시작하여 만약 모방을 하나의 기법으로써 인정한다 하더라도 어느 정도의 수위에서 그 한계선을 그어야 할 것인지, 그리고 또한 그것은 표절과는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인가라는 복잡한 미학적인 견해의 차이에서 비롯된 일일 것이다.
원래 서양예술사에 있어 모방의 문제는 그 생일(生日)과 기일(忌日)이 명확한 절대적, 양적인 개념이 아니다. 일찍이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가 예술의 정의와 관련하여 모방의 개념을 도입한 이래 그것은 어느 시대에나 상존하고 있었으나 시대에 따라 예술의 지극히 정상적인 기법으로 인정받기도 하였으며 또한 절도행위와 같은 비윤리적 행위로 폄화되기도 하였던 상대적, 질적인 개념인 것이다. 그리고 이렇듯 시대별로 그 경중(輕重)의 비중을 달리했던 모방의 현상은 다른 예술현상들과 마찬가지로 당대를 지배하고 있었던 인식론적, 사회 문화적 배경과 밀접한 연관하에서 존재했던 것이다. 예컨대, 중세의 신권 중심적 사회에서 벗어나 고대 그리스, 로마의 인본주의적 전통을 부활시키려는 욕구가 팽배했었던 르네상스와 신고전주의 시대의 경우, 고전에 대한 광범위한 모방의 관행이 폭넓게 인정되었던 것이며 이와는 반대로 18세기 중엽의 낭만주의 시대에는 예술가들을 재정적으로 후원해오던 왕족과 귀족의 후견인 제도가 몰락하고 개인의 사적소유권을 존중하는 자본주의가 발달하면서 작가들로 하여금 작품의 저작권과 텍스트의 독창성이라는 새로운 인식을 파생케 하였던 것이다.
· Ihab Hassan, "Toward a Concept of Postmodernism" in Postmodernism: An International Anthology, ed Wook-Dong Kim, (Seoul, Hanshin Publishig Co. 1991)
· Julia Kristeva, Semitica, Trad. Jos Martn Arancibia, (Madrid: Fundamentos, 1987)
· John Incledon, "La obta Invisible de Pierre Menard ", Revista Iberoamericana, nn. 100-101 (Julio-Dicienbrre, 1997)
· Ana Mara Barrenchea, La Expression de la irrealidad en la obra de Borges, (Buenos Aires: Paids, 1967)
· Bajtn, Mijail M., Problemas de la potica de Dostoievski, tra. Tatiana Bubnova, Mxico, Fondo de Cultura Econmica, 1986
· Barthes, Roland, "La muerte del autor" en El susurro del lenguaje, trad. C. Fernandes Medrano, Barcelona, Paids, 1987
· Hassan, Ihab, "Toward a Concept of Postmodernism" in W.D. Kim(ed) Postmodernism: An International Anthology, Hanshin Publishing Co. Seoul, 1991
· Kristeva, Julia, Semitica, Madrid, Fundamentos, 1978
· Siebenmann, Gustav, Ensayos de Literatura Hispanoamericana, Madrid Taurus, 1988
· Varios, Historia de la Literatura Argentina, Vol. 4, Buenos Aieres, Centro Editor de America Latina, 1980
· 먼로 C. 비어슬리, 이성훈, 안원현 역, 『미학사』, 이론과 실천, 1987
· 레이먼 셀던. 현대문학이론 연구회 역, 『현대문학이론』, 문학과 지성사 1987,
· 존 바스, 공미리 역, 「고갈의 문학」, 김욱동, 『포스트모더니즘의 이해』
· 롤랑 바르트, 김명복 역, 『텍스트의 즐거움』,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0,
· 미하일 바흐친, 전승희 역, 「소설의 언술」, 『장편소설과 민중언어』, 창작과 비평사, 1988,
· 미겔 데 세르바네스, 김현창 역, 『돈키호테』. 범우사, 1991
· 김성곤『소설의 죽음과 포스트모더니즘』. 도서출판 글, 1992
· _____,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현대시사상』 제 3호, 1989
· 김욱동, 『대화적 상상력』, 문학과 지성사, 1988
· _____, 『포스트모더니즘의 이해』, 문학과 지성사, 1990
· _____,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현암사, 1992
· _____, 『문학의 위기』, 문예출판사, 1993.
· 박치완, 『(탈)현대의 철학과 쟈끄 데리다의 「목소리와 현상」에 대한 해체적 독서』.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 석사학위논문, 1992
· 손관수, 「Borges와 『글쓰기』, 『한국외국어대학교 논문집 제 26집』 한국외국어 대학교 출판부, 1993
· 최낙원, 「보르헤스와 세르반테스 : 보르헤스의 양피지성을 중심으로」,
· 『현대시사상』, 1993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