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변화가 심한 한라산에서 어떻게 생물종이 유지되고 있을까?
화이트2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기후 변화가 심한 한라산에서 어떻게 생물종이 유지되고 있을까?"에 대한 내용입니다.고등학생 주제 탐구 대회에 제출한 논문입니다.
고등학교 과제 시 참고하면 좋습니다.
목차
I. 서론1. 탐구 동기
2. 탐구 목적
3. 배경 지식
가. 제주도
나. 한라산
II. 본론
1. 기후
가. 여러 지역의 기후
나. 제주도(한라산)의 기후
2.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종 변화&유지
가. 식물
나. 동물
III. 결론
1. 탐구 결과
2. 제주도의 멸종위기나 희귀한 동식물
3. 탐구 후 느낌
가. 앞으로 탐구해보고 싶은 주제
◎ 참고문헌
본문내용
1. 탐구 동기2학년 학생은 4월 25일~28일에 제주도로 수학여행을 다녀왔다. 제주도를 여행하고
나서 제주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낮과 밤으로 달라지는 날씨에 의문점을 갖게 되
었다. 제주도는 평소 일교차가 높은 것으로 알고 있었기 때문에 기압이 제주도에서 가
장 높은 제주도의 한라산에서 이런 기후 변화에 어떻게 생물이 적응하고 있는지 궁금
해졌다. 따라서 이를 탐구 주제로 삼고 탐구하게 되었다.
2. 탐구 목적
한라산은 고도 1,950m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화산폭발을 통해 생성된
지형이기도 하다. 고도와 기압의 영향을 많이 받아 식생이 살기에 불리하다. 한라산은
최고 약 18℃, 최저 영하 3℃까지 기후가 변하여 위치에 따른 기후차이도 크다. 그러나
이런 한라산은 생물들을 위해 천연 보호 구역으로까지 지정되며 생물종이 잘 유지되고
있다. 이에 대해 어떻게 기후변화에 생물종이 유지되는지 탐구하고자 한다.
3. 배경 지식
가. 제주도
제주도는 비록 바다에 의해 둘러싸여 있지만 대륙붕 위에서 이루어진 대륙지각 내
화산활동에 의해 만들어진 화산섬입니다. 제주도 중앙부에는 한라산이 있고 368개의
오름이 섬 전체에 고루 분포해 있습니다.
특히 제주도는 관광산업의 도시로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제주도 생태 관광지3곳을 조사했습니다.
➀만장굴
만장굴은 김녕사굴과 함께 천연기념물 제98호로 지정되었습니다. 만장굴도 화산 용암의 침하운동으로 생성된 동굴 중 하나고, 석주와 종유석 등의 장관을 이루어 동굴 내부의 규모는 세계적인 자랑거리입니다. 저희가 만장굴을 생태 관광으로 선택한 이유는 수학여행 세 번째 날 만장굴에서 힘들었지만 처음부터 끝까지 걸어갔던 보람찬 기억이 나기 때문입니다.
참고 자료
홈페이지: 기상청 <http://www.kma.go.kr/index.jsp/ 2016.04.20.>홈페이지: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1436&cid=40942&categoryId=33311/
2016.04.20.>
홈페이지: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0039&cid=40942&categoryId=33142/
2016.04.20.>
홈페이지: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48681&cid=42865&categoryId=42865/
2016.04.21.>
홈페이지: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46268&cid=46680&categoryId=46680/
2016.04.21.>
신문기사: “멸종위기 ‘전주물꼬리풀’기증” 『경인일보』,
2016.05.13.,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4367>
홈페이지: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6260&cid=42840&categoryId=42855
/ 2016.04.26.>
신문기사: “‘자연의 보고’ 한라산 생물종 1600여종” 『제주도민일보』,
2013.02.22., <https://www.jejudomin.co.kr:449/news/articleView.html?idxno=37829>
신문기사: “[제주의 자존, 한라산을 말하다](2) 제1부 위기의 생태계”
『한라일보』, 2016.03.07., <http://www.ihalla.com/read.php3?aid=*************122314>
홈페이지: 한라산 국립공원
<http://www.hallasan.go.kr/hallasan/content.php?page=02010201/ 2016.04.28.>
신문기사: “한반도 기후변화로 침엽수 고사...내륙지역서 발견된 것은 처음”
『동아일보』, 2016.04.04., <http://news.donga.com/3/all/20160404/77392848/1>
논문: 공우석, 한라산의 수직적 기온 분포와 고산식물의 온도적 범위, 1999,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10799392&dir_id=0&page=0&query=%ED%95
%9C%EB%9D%BC%EC%82%B0%20%EA%B8%B0%EC%98%A8&ndsCategoryId=10310&librar
y=35,2016.05.15.>
홈페이지: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01183&cid=50377&categoryId=50377/
2016.05.15.>
신문기사: “‘세계 7대 자연경관’지구촌의 보물섬이 된 제주도 ”
『경인일보』, 2011.11.14.,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617021>
홈페이지: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92778&cid=49807&categoryId=49807/
2016.05.18.>
신문기사: “제주 덕천서 발견된 동굴, 거문오름계 가지 동굴”
『제주의소리』,2016.02.29.,<http://www.jejusori.net/?mod=news&act=articleView&idxno=1
74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