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기업역할] 빈곤퇴치를 위한 기업의 역할

"[기업역할] 빈곤퇴치를 위한 기업의 역할"에 대한 내용입니다.
22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4.03.16 최종저작일 2004.03
22P 미리보기
[기업역할] 빈곤퇴치를 위한 기업의 역할
  • 미리보기

    목차

    1. 머리말

    2. 기업재단은 무엇이며, 왜 존재하는가?
    (1) 기업재단의 정의와 유형
    (2) 기업재단을 바라보는 관점
    1) 이윤추구 모델(Company Self-Interest Model)
    2) 자선 모델(Philanthropy model)
    3) 사회전략 모델(Social Strategy model)
    4) 동형화 모델(Isomorphism model)

    3. 기업재단의 실태
    (1) 기업재단의 일반적 특성
    (2) 기업재단의 사업영역과 그 특성
    (3) 취약계층에 대한 기업재단의 기여: 실태와 평가
    1) 사회복지 영역에 대한 기여 실태
    2) 기업재단의 기여에 대한 평가

    4. 맺는말

    본문내용

    1. 머리말

    어떤 정치적 수사나 이론적 논리에 앞서 빈곤의 문제를 우리가 항상 목도하고 있다는 사실이 사회복지활동을 필연적으로 요구한다. 새삼스레 빈곤문제를 2회에 걸친 기획주제로 상정한 데에는 역설적으로, 우리가 발디딘 시공에서 제기되는 정치적 수사나 이론적 논리가 사회복지 활동의 필연성을 옹호하는 방향과는 거리가 있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특히 20세기의 전반기에 정당성을 확보하고, 2차대전 이후 약 20-30년간 전성기에 있던 복지국가 이데올로기와 그에 따른 공공복지 확대의 논리는 1980년대 이후 정치적, 학술적 담론구조의 핵심에서 이미 소외되어 있다. 우리의 경우에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다. 문민정부는 한국형 복지사회모형을 정립하면서, 그것의 핵심적 구성요소 중의 하나를 공공과 민간의 복지 파트너쉽 강화로 설정했다(국민복지기획단, 1995). 이제 사회복지에 대한 공공부문의 독점적 의무는 민간부문에게로 상당부분 전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민간부문의 범위는 매우 넓다. 우선 민간부문은 공공부문, 혹은 정부영역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시장원리에 의해 조직화되어 영리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영리부문과 영리추구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 비영리부문, 그리고 비공식부문으로 3분할 수 있다. 이렇듯 포괄적인 민간부문의 다양한 행위자들 중에 특별히 기업조직이 최근 부각되는 것은 크게 보아 두가지의 배경을 가진다. 우선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사회전반적인 상황변화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복지국가의 위기 이후에 모든 영역에 대한 공공부문의 역할이 비효율적이라는 견해들이 제기된 바 있다. 풍부한 물적, 인적 자원을 소유하고 있는, 또한 자본주의 사회의 핵심적 행위자인 기업조직은 이러한 맥락에서 사회복지 활동을 조직화할 수 있는 한 주체로 강조된다.

    참고자료

    · 국민복지기획단, 『 '삶의 질' 세계화를 위한 국민복지의 기본방향』, 1995.
    · 손병돈, "한국의 공적 사회복지지출 추계와 외국과의 비교", 1996(미발행).
    · 신유근, 한정화,『한국기업의 사회참여활동』, 전국경제인연합회 경제사회개발원, 1990.
    · 이혜경, "일본의 공익재단과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정구현, 이혜경 공편, 『한국공익재단의 환경변화와 발전방향』,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1995.
    · 전국경제인연합회, 『한국기업재단총람: 기업재단의 사회공헌활동』, 1995.
    · 최일섭, 김태성, 홍경준, 『민간복지활성화를 위한 기업참여에 관한 연구』, 서울대 사회복지연구소, 1996.
    · 한국노동연구원, 『근로복지공사의 공단화에 따른 기존사업 및 산재보험 업무의 효율적 추진방향 연구』, 1994.
    · 홍경준, "한국 기업복지의 결정요인: 제조업의 조직특성을 중심으로,"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96.
    · Clotfelter, C., "The Distributional Consequences of Nonprofit Activities," C. Clotfelter, ed., Who Benefits from the Nonprofit Sector?,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 Dore, "Two Kinds of Regidity," R. Brunetta, & C. Dell'Aringa, eds., Labor Relations and Economic Performance, New York University Press, 1990.
    · Foundation Center, The Foundation Directory, New York, Foundation Center, 1989.
    · Gordon, M., Social Security Policies in Industrial Countries: A Comparative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 Mescon, T., & D. Tilson, "Corporate Philanthropy: A Strategic Approach to the Bottom-Line,"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Vol. 29, 1987.
    · Meyer, M., & B. Rowan, "Institutionalized Organizations: Formal Structure as Myth and Ceremony,"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 83, 1977.
    · Meyer, M., & L. Zucker, Permanently Failing Organization, Sage Publications, 1989.
    · Mishra, R., "The British Welfare State: Retrospect and Prospec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cial Welfare in Seoul, 1992.
    · Orr, M., & N. Biggart, G. Hamilton, "Organizational Isomorphism in East Asia," W. Powell, & P. DiMaggio, eds., The New Institutionalism in Organizational Analysi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1.
    · Useem, M., "Corporate Philanthropy," W. Powell, ed., The Non-Profit Sector: A Research Handbook, Yale University Press, 1987.
    · Webb, N., "Tax and Government Policy Implications for Corporate Foundation Giving," Nonprofit and Voluntary Sector Quarterly, Vol. 23, 1994.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해당 자료는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