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정신건강간호학- 긍정심리 프로그램이 주요우울장애 환자의 우울, 자존감 및 희망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간호학- 긍정심리 프로그램이 주요우울장애 환자의 우울, 자존감 및 희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5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3.04.04 최종저작일 2021.05
5P 미리보기
정신건강간호학- 긍정심리 프로그램이 주요우울장애 환자의 우울, 자존감 및 희망에 미치는 영향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정신건강간호학- 긍정심리 프로그램이 주요우울장애 환자의 우울, 자존감 및 희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논문의 필요성 요약
    2. 연구목적
    3. 연구방법
    4. 연구대상
    5. 연구 결과 요약
    6. 제언
    7. 참고문헌

    본문내용

    5. 연구 결과 요약
    대상자의 연령은 실험군의 경우 40대 미만이 12명(46.1%)으로 가장 많았고, 대조군
    은 40~60세가 15명(55.6%)으로 가장 많았다. 성별 구성은 실험군에서는 20명
    (76.9%)이, 대조군에서는 23명(85.2%)이 여성이었다. 학력은 실험군의 경우 10명
    (38.5%)이 대졸 이상으로 응답하여 가장 많은 빈도를 보였고, 대조군은 고졸이 가장
    많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10명(37.0 %)이었다. 실험군 20명(76.9%), 대조군 22명
    (81.5%)이 기혼자이었으며 직업상태는 실험군 19명(73.1%), 대조군 19명(70.4%)이 무
    직인 상태로 나타났다. 우울증으로 진단받은 기간이 12개월 미만인 경우가 실험군
    6명(21.0%), 대조군 2명(7.4%)이었고, 12~36개월인 경우는 실험군 8명(32.9%), 대조
    군 10명(37.0%)이었으며, 36개월 이상인 경우는 실험군 12명(46.1%), 대조군 15명
    (55.6%) 순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두 군 간에 동질한 것으로 나타

    참고자료

    · 1. Jae YM. Suicide and psychotic disorder. J Korean Soc Biol Ther Psychiatry. 2004;10(1):3-10.
    · 2. Seligman ME, Rashid T, Parks AC. Positive psychotherapy. Am Psychol. 2006;61(8):744-88. http://dx.doi.org/10.1037/0003-066x.61.8.774
    · 3. Lim YJ. Efficacy of positive psychotherapy on college stud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KJCP. 2012;31(3):679-92.
    · 4. Kwon SM. Positive psychology. Seoul: Hakjisa; 2008. 622 p.
    · 5. Maddux JE, Snyder CR, Lopez SJ. Toward a positive clinical psychology: deconstructing the illness ideology and construc￾ting an ideology of human strengths and potential. Positive psychology in practice. Hoboken, NJ, US: John Wiley & Sons Inc; 2004. p. 320-34. http://dx.doi.org/10.1002/9780470939338.ch20
    · 6. Campbell JD. Self-esteem and clarity of self-concept. J Pers Soc Psychol. 1990;59(3):538-49. http://dx.doi.org/10.1037//0022-3514.59.3.538
    · 7. Yeo JH, Hyun MY, Lee EJ, Park EO, Kim JH, Song HJ.
    · Psychosocial maturity,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under￾graduate student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05;14(1):73-81.
    · 8. Beck AT.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New York: Harper & Row; 1967. 370 p.psychological tests. Maltby: C, A, Lewis & A, Hill (Eds.); 2000. p. 240-5.
    · 9. Snyder CR, Feldman DB. The state hope scale. a handbook of psychological tests. Maltby: C, A, Lewis & A, Hill (Eds.); 2000. p. 240-5.
    · 10. Kim JE. Experience of hope in terminal cancer patients: apply￾ing Parse's theory of becoming a human being [dissertation]. [Gwangju]: Cheonnam National University; 2010. 118 p.
    · 11. Seligman ME, Schulman P, Tryon AM. Group prevention of depression and anxiety symptoms. Behav Res Ther. 2007;45
    · (6):1111-26. http://dx.doi.org/10.1016/j.brat.2006.09.010
    · 12. Snyder CR, Sympson SC, Ybasco FC, Borders TF, Babyak MA, Higgins R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tate hope scale. J Pers Soc Psychol. 1996;70:321-35. http://dx.doi.org/10.1037//0022-3514.70.2.321
    · 13. Tollet H, & Thomas HP. A theory-based nursing intervention to instill hope in homeless veterans. Adv Nurs Sci. 1995;18(2):76-90.
    · 14. Sung MH, Chun SM, Lim OK, Kim EK. The effects of a positive psychotherapy program on depression,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of depressive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 J East West Mind Sci. 2012;15(1):43-58.
    · 15. Yoo EY, Son CN. Effects of positive psychotherapy program on happiness, optimism, hopelessness, and depression of the depression-prone adolescents. KJHP. 2013;18(4):669-85.
    · 16. Kim JY, Ko YG. Positive clinical psychology: focusing on mental fitness and positive psychotherapy. Korean Psycholo￾gical J Culture Soc Issues. 2009;15(1):155-68.
    · 17. Beck AT, Steer RA, Brown GK. Beck depression inventory. 2nd Manual. San Antonio. TX: The Psychological Corporation; 1996.
    · 18. Sung HM, Kim JB, Park YN, Bai DS, Lee SN, Ahn HN. A study on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Ⅱ (BDI -Ⅱ). J Korean Soc Biol Ther Psychiatry. 2008;14(2):201-12.
    · 19.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326 p.
    · 20. Jeon BJ.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J Yonsei Non￾chong, 1974;11(1):107-30.
    · 21. Snyder CR, Harris C, Anderson JR, Holleran SA, Irving LM.
    · The will and the way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dividual-differences measures of hope. J Pers Soc Psychol.
    · 1991;60(4):570-85. http://dx.doi.org/10.1037/0022-3514.60.4.570
    · 22. Kim TH. The mediate effects of hope and meaning of life on
    · adolescents' resilience. Korea J Couns. 2004;5(3):743-72.
    · 23. Kim JY, Lim YJ. Depressive symptoms as a predictor of re￾sponse to positive psychotherapy for adolescents. KJRP. 2015; 22(1):1-10.
    · 24. Kim MK. The effect of group positive psychology program on self-esteem, happiness of adolescent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ersity; 2011. 63 p.
    · 25. Jeong JH, Son CN. Effects of positive psychotherapy on de-pression, self-esteem, and optimism of adolescents with school maladjustments. KJHP. 2014;19(1):99-117.
    · 26. Sung MH, Choi MY, Eum OB. Effects of hand holding on self-esteem and assertiveness in women patients with depres￾sion.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10;19(2): 154-62.
    · 27. Key CLM, Lopez SJ. Toward a science of mental health: pos￾itive direction in diagnosis and intervention In C. R Snyder & Lopez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New York: xford University Press; 2001. 848 p.
    · 28. Park MK, Lee YS. The effects of the hope enhanc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on learn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Korea J Couns. 2011;12(2):505-22.
    · 29. Magaletta P, Oliver J. The hope construct, will, and ways: their relations with self-efficacy, optimism, and general well-being.
    · J Clin Psychology. 1999;55(5);539-51.
    · 30. Hong HJ.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y group counsel￾ing program on depression, hope and optimism of adoles￾cents [master's thesis]. [Gwangju]: Cheonnam National Uni￾versity; 2012. 110 p.
  • AI와 토픽 톺아보기

  • 자료후기

      Ai 리뷰
      이 논문은 주요우울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긍정심리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결과, 긍정심리 프로그램이 대상자들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자존감과 희망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