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병구, “이명박 정부의 복지재정 평가와 차기정부의 과제,” 2012년 재정학 공동학술대회 발표자료집, 한국재정학회, 2012.
							
											· 관계부처 합동, 「박근혜정부 국정비전 및 국정목표」, 청와대, 2013.
							
											· 김교성․ 김성욱, “복지의 양적 확대와 체계적 축소: 이명박 정부의 복지정책에 대한 평가,” 
							
											· 「사회복지정책」제39권 제3호, 한국사회복지정책연구원, 2012, 117~149쪽.
							
											· 김교성, 한국의 복지국가, 새로운 좌표가 필요한가?. 「사회복지정책」제40권 제1호,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3, 31~59쪽.
							
											· 김연명, 「한국 복지국가 성격 논쟁Ⅰ」, 김대중 정부의 사회복지정책: 신자유주의를 넘어서, 인간과 복지, 2010.
							
											· 김영순, “노무현정부의 복지정책과 복지정치,”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08.
							
											· 김원섭․남윤철, “이명박 정부 사회정책의 발전: 한국 복지국가 확대의 끝” 「아세아연구」제54권 제1호,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1, 119~152쪽.
							
											· 김종일, “한국의 산업별 성장요인 분석과 생산효율성 비교,” 「경제학연구」제46권 제1호, 한국경제학회, 1998, 3~24쪽.
							
											· 남찬섭, “복지개혁 및 복지체제 성격 논쟁의 논점과 향후 논의방향,” 「사회복지정책」제14권, 한국사회복지정책연구원, 2002, 9~25쪽.
							
											· 양재진, “구조조정과 사회복지: 발전국가 사회복지 패러다임의 붕괴와 김대중정부의 과제,” 「한국정치학회보」제35권 제1호, 한국정치학회, 2001, 211~231쪽.
							
											· 이혜경, “한국 복지국가 성격 논쟁의 함의와 연구방향”, 「한국 복지국가 성격 논쟁 I」, 인간과복지, 2002.
							
											· 정경배, 「생산적 복지의 기본구상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2.
							
											· 정무권, “‘국민의 정부’의 사회정책: 신자유주의로의 확대? 사회통합으로의 전환”, 「한국 복지국가 성격 논쟁 I」, 인간과 복지, 2002.
							
											· 정창영, “한국의 경제발전과 사회발전,” 영남대학교 개교 40주년 기념 국제학술심포지움, 1787.
							
											· 조영훈, “현 정부 복지정책의 성격: 신자유주의를 넘었나” 「한국 복지국가 성격 논쟁 I」, 인간과 복지, 2002.
							
											· 최병호, “보건복지부문의 정책과제,” 한국사회정책학회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한국사회정책학회, 2003.
							
											· 한국갤럽, 한국인의 경제체감지수 여론조사, 2013.
							
											· 한국경제 60년사 편찬위원회, 「한국경제 60년사」, 한국개발연구원, 2011.
							
											· 한상진, 「사회통합과 균형성장—역동적 균형과 한국의 미래」, 한국사회 균열구조와 생산적 제 3의길, 나남, 2006.
							
											· 한상진 역, 「제3의 길」(Third way: The Renewal of Social Democracy, Anthony Giddens)생각의 나무, 1999.
							
											· 김진욱. (2004). 한국 소득이전 제도의 소득불평등 및 빈곤감소 효과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20:171-195.
							
											· 김동규, 한국 사회복지정책의 통사적 고찰, 「한국행정사학지」, 15. 한국행정사학회, 2004.
							
											· 김연명, 변혁기 한국 사회보험의 현황과 과제. 「사회복지」, (가을): 7-21, 2000.
							
											· 김영삼, 「삶의 질의 세계화를 위한 대통령의 복지구상(1995. 3)」, 1995.
							
											· 김영순・권순미, 한국의 공공부조 정책결정과정. 양재진 외, 「한국의 복지정책 결정과정」, 서울: 나남출판, 2008.
							
											· 김용익, 참여정부 사회정책의 성과와 전망, 「참여정부 국정과제의 성과와 전망」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2008.
							
											· 김일영, 한국에서 발전국가의 기원, 형성과 발전 그리고 전망, 「한국정치외교사논총」, 23(1):87-126, 서울: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01.
							
											· 김태성・성경륭, 「복지국가론」서울: 나남출판, 2006
							
											· 양재진,구조조정과 사회복지: 발전국가 사회복지 패러다임의 붕괴와 김대중 정부의 과제, 「한국정치학회보」, 35(1),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