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인터넷과 디지털 기기 없이는 살아갈 수 없는 시대가 되었다. 21세기, 화려하게 새 세기의 막이 열리면서 디지털과 인터넷은 본격적으로 대중들에게 보급되기 시작해, 시간이 흐르며 온라인 쇼핑이나 인터넷 예매 등으로 일상생활에서도 다양하게 이용하게 되었다. 또한 스마트폰이 본격적으로 보급되던 2012년부터 스마트폰 사용률은 꾸준히 올라 2022년 6월에는 모든 연령에서 80% 이상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게 되었다.
그런 흐름에 따라,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공공 서비스 업무를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디지털 기기들도 점점 발달하여, 키오스크(kiosk)와 같은 무인 서비스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런 스마트폰 어플을 통한 생활 서비스나 키오스크와 같은 디지털 활용은 일일이 사람을 통하지 않아도 되고, 전산상으로 바로 업무가 처리되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렇게 빠르게 발전하는 디지털 기술에 적응하지 못하고 키오스크, 온라인 예매 등 디지털 기기나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해 소외되는 ‘디지털 소외’ 문제를 낳게 되었다. 디지털 정보 사회는 점점 더 고도화될 것이고, 디지털 소외 계층을 방치하게 되면 사회 통합을 크게 저해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필자는 디지털 소외 계층이 어떤 문제를 겪고 있고, 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어떻게 노력할 수 있을지 탐구해 보고자 한다.
2. 디지털 기기 활용 증가 현황
2.1. 키오스크
키오스크란, ‘신문, 음료 등을 파는 매점’을 뜻하는 영어단어로, 정보통신에서는 정보서비스와 업무의 무인·자동화를 통해 대중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장소에 설치한 무인 단말기를 말한다.
위 표는 현재 국내의 공공분야, 민간분야에서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키오스크의 운영 대수를 조사한 표이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의 영향과, ICT(정보통신기술)의 지속적인 발달로 키오스크는 공공분야와 민간분야 할 것 없이 점점 늘어가는 추세이다.
· 박미희, 「코로나19 전후 경기도 중학생의 디지털 기기 이용 행태 비교」,『통계로 보는 교육』, 통권 20호, 교육통계센터, 2021.
· 이성훈·박솔·박정민, 『2021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1.
· 이향수·이성훈, 「저소득층의 디지털 정보화수준과 여가 생활 만족도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논문지』, v.16, no.11,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8.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회장, 『사회적 약자(정보취약계층)를 위한 무인정보 단말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접근성 요구사항』,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21.
· 고희진, 「설 기차 ‘타보니’..입석엔 노인들」, 『경향신문』, 2019.2.4., https://v.daum.net/v/2*************727, 2022년 12월 11일 최종검색.
· 국토교통부, 「키오스크」, ITS용어사전,『네이버 지식백과』, 2010.,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2345&docId=2071635&categoryId=42345.
· 김나인, 「통신비 할인만으론 부족…기기 보급·콘텐츠 활용법에도 힘써야」,『디지털타임스』,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731029001.
· 두피디아, 「유니버설 디자인」, 『두피디아』,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10938.
· 민정범, 「디지털 격차가 드리운 소외의 그림자」, 『홍대신문』, 2022.3.2., http://mhiupress.hongik.ac.kr/news/articleView.html?idxno=3442.
· 박미리, 「장애인에게 높고 단단한 벽 ‘키오스크’」,『소셜포커스』, 2019.1.4., https://www.socialfoc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41.
· 박주환, 「무인주문기 ‘키오스크’ 3배 급증…김상희 의원 취약계층 위한 시스템 갖춰야」, 『투데이신문』, 2021.10.8., http://www.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80842.
· 원샷한솔, 「시각장애인이 혼자 패스트푸드점에 간다면? 사회실험| 실험카메라」, Youtube, 2021.3.30., https://youtu.be/xH1rAJ-jGWo.
· 이동민, 「코로나 19로 늘어난 키오스크…장애인에겐 벽」, 『전북일보』, 2022.4.19., https://www.jjan.kr/article/*************9.
· 이병철, 「어르신, 키오스크 왜 못 쓰세요?」, 『동아사이언스』, 2022.7.9., https://m.dongascience.com/news.php?idx=55286.
· 이슬하,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1002대 중 1대…주문조차 할 수 없는 장애인」, 『비마이너』, 2022.6.15., https://www.beminor.com/news/articleView.html?idxno=23506.
· 이재상,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조사대상 1002대 중 단 1대뿐」, 『미디어생활』, 2022.6.24., http://www.imedialife.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110.
· 장소희, 「‘스마트폰·TV·가전’ 제품 가격 다 올라…원인은 ‘반도체’ 값」, 『뉴데일리 경제』,2022.5.19., https://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2/05/19/*************.html.
· 차진형, 「은행 점포 축소 속 대안으로 떠오른 화상상담창구」, 『N뉴스 저널리즘』, 2021.12.12., https://www.nge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04851.
· 한국갤럽,「2012-2022 스마트폰 사용률 & 브랜드, 스마트워치, 무선이어폰에 대한 조사」, 『한국갤럽』, 2022.6.30., https://www.gallup.co.kr/gallupdb/reportContent.asp?seqNo=1309.
· 행정안전부, 「공공기관 모바일 앱 서비스 정보」, 『공공테이터포털』, 2021.10.16., https://www.data.go.kr/data/3034714/fileData.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