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중국사 요약 - 제자의 학과 사상의 이해
- 최초 등록일
- 2022.12.28
- 최종 저작일
- 2020.04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1. 머리말
2. 사학의 성립과 그 논증법
3. '인간의 발견'과 그 한계
4. '사인(士人)의 학(學)'과 그 논리
5. 통일과 전쟁의 논리
6. 맺음말
본문내용
1. 머리말
- 제자사상은 그 시대를 이해하는 것만이 아니라, 중국사상 전체의 기본적인 성격을 이해하는 데 불가결한 전제.
- 제자사상은 선진 제자서로 알려진 문헌을 통하여 접근할 수 밖에 없고, 이러한 문헌과 저술자 개인에 대한 정확한 고증이 되기 어려움. Ex) 노자와 노장사상의 성립시기
- 제자서는 개인의 저작이라기보다 한 학단의 문인들이 장기간에 걸쳐 편찬, 추가된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제자서로 제자사상을 복원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음.
- 유파별 사상체계의 구성은 개인이나 학파가 논리적으로 일관된 순수한 이념체계를 구성하는 것을 전제로 나온 분류이기 때문에 분류의 개념이 애매하다.
※ ‘유가’에 속한 인물과 저작에는 일체의 비유가사상이 있을 수 없으며, 비유가계열의
인물과 저작에도 유가사상이 포함될 수 없다는 논리가 성립한다.
- 특정 주제나 분야별로 접근한 분류체계는 종합적인 접근이라는 점은 긍정적이나, 실제로는 대부분 개인, 유파별 연구를 집성한 성격에 불과하며, 해당 분야나 주제의 논리적 체계를 구조적으로 분석하여 재구성한 예는 거의 없다.
- 지역, 문화배경으로 접근한 분류체계는 사상의 특색을 지역문화와 환경의 측면에서 설명하였으나, 지나치게 문명비판적인 점을 강조하였다.
- 계급론적인 분류는 시대의 사회경제사 연구의 불충분, 그 시대의 공통과제를 간과한 결과 자료를 억지로 종합하려는 한계점을 넘지 못하고 있다.
2. 사학의 성립과 그 논증법
- 상∙주시대와 춘추전국시대의 지식 전달방법의 비교
지식집단
씨족사회의 장로를 중심
개인 및 개인의 학단을 중심
(몰락귀족, 하급사인층)
지식내용
6예 : 예(禮),악(樂),사(射),어(御),서(書),수(數)
씨족성원의 역할로 기대된 실제적인 기능
다양한 지식과 원리
교육목적
씨족구성원이 되기위한 교육
개인의 사회적 지위 상승,
변화하는 시대의 새로운 원리 모색
교육방법
스승(씨족장로) 중심의 일방적인 교육
스승과 제자의 문답식 교육, 강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