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부
시진 : 형태(주상, 편평, 팽만, 비만), 대칭, 제대의 상태(윤곽, 위치), 근조직(tone, 덩어리), 정맥확장, 피부(색소화, 병소, 반흔, 선, 발진과 병변)
청진 : 장음과 혈관음
타진 : 비장, 신장의 위치 구분
촉진 : 압통 있는 부위와 덩어리의 유무
방광 팽창 등 촉진
서혜부와 대퇴부의 임파절 비대 와 탈장
간,위,비장, 신장(크기, 모양, 압통)
복수, 탈장
항문
시진 : 항문열상, 치질, 치루 농양
생식기
남자-시진: 피부, 모발(분포, 기생충), 포피(연성하감, 종양), 음경(분비물, 크기), 음낭(결절, 궤양, 부종)
정신상태
전반적인 모습 : 연령에 맞는 외모, 계절에 적절 한 옷차림
비언어적 의사소통 : 자세, 얼굴표정, 활동, 기분, 불안한 신체적 증상
의식수준 : 완전한 의식, 기면, 혼미, 혼수
면접에 대한 태도 : 반항적인가, 협조적인가, 우울한가, 기분이 좋은가
환경과의 관계 : 지남력-시간, 장소, 사람
감정과 행위 : 정상방어기전 사용능력, 분노의 인식과 조종
인지능력 : 기억, 주의력, 실행증, 실어증, 실인증
뇌신경
1(후신경) : 냄새
2(시신경) : 시력, 시야측정, color vision
3(동안신경), 4(활차신경), 6(외전신경) : 동공대광반사, 외안운동, 안검거상검사, 각막반사, 적색반사, 조절폭주검사
5(삼차신경) : 측두근과 저작근 운동, 이마, 뺨 및 턱에 대한 통각검사
7(안면신경) : 얼굴의 움직임-비대칭성, 비정상적인 운동, 웃어보기, 눈썹 치켜뜨기, 치아보이기, 볼 부풀리기, 저항에 대항하여 눈 꽉 감기
8(청신경) : 청력, Weber, Rinne
9(설인신경), 10(미주신경) : 혀의 맛 감별, 목젖위치, 삼킴, 인두의 운동, 연구개의 운동, 발성, 쉰 목소리의 유무
11(부신경) : 흉쇄유돌근과 승모근의 움직임, 머리의 돌림, 어깨의 돌림
12(설하신경) : 혀의 운동(손상연축, 비대칭성, 비정상적인 형태)
· 강현숙 외 공저, 「기본간호학」, 수문사(2014)
· 박은숙 외 공저, 「아동간호학」, 현문사(2014)
· 박성규,「CBC 검사에서 혈구수치 이상에 대한 해석과 이해」, 순천향대학교, 2010
·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Meg Gulanick, Judith L. Myers, 현문사, 2015
·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김금자 외 12명, 현문사, 2012
· 약학정보원
· 대한영양사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