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장애는 인지와 정서의 장애, 비정상적 행동, 기능 장애 혹은 이러한 증상이나 장애가 복합되어 있는 질환이다. 이러한 정신장애는 단순히 환경적 요인만이 아닌 생리적, 유전적, 화학적, 사회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관련되어 발생하며 임상적으로 유의미하게 사회 직업적 혹은 기타 중요한 기능 장애를 보인다[1].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하는 정신질환실태조사에 따르면 2016년 기준 18세 이상 정신장애 평생 유병률은 25.4%, 2016년 정신장애 일년 유병률은 11.9%이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의 상담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7%로 유병률에 비해 낮은 편이다(통계청, 2016). 정신건강 치료 및 서비스는 과거에 비해 크게 개선되었지만 많은 사람들이 치료를 시작하지 않거나 치료요법을 완전히 따르지 않는 이유 중 하나는 낙인 때문이다[2]. 모든 정신장애인은 정신장애 때문에 부당하게 차별대우를 받지 않도록 정신건강복지법에 명시되어 있지만 일반인들은 여전히 정신장애를 앓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낙인이 심각하며[2] 정신장애를 진단받게 되면 낙인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차별로부터 보호를 받기 어렵다고 생각한다[2].
더불어 의료인 중에서도 정신장애인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가 심각한 문제로 나타났는데[5] 이러한 낙인, 부정적 인식은 정신질환자에 대한 차별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6] 사회구성원이 가지는 정신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와 인식은 조기발견, 치료 및 재활 등을 방해하는 부정적인 요소일 뿐 아니라, 지역사회로의 복귀와 적응을 힘들게 만들어 치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7]
이러한 이유로 최근 들어 정신장애인에 대한 편견 해소와 인권 강화를 위한 정책적인 대안을 마련하여 모든 정신보건시설 종사자들에게 주기적으로 이와 관련된 교육을 받게 하고 있다(정신보건법,2018). 간호사의 정신질환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태도형성을 위해서는 교과목과 실습을 통한[8] 교육과 훈련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9].
· 손수경 ⸱ 박은영(2020) 「정신간호학실습을 경험한 간호학생의 정신장애에 대한 인식」-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Vol.29 No.4 p. 285-295
· 코리건,P(2004) 「낙인이 정신건강 관리를 방해하는 방법」- APA PsycArticles, Vol59 No.4 p.614-625
· 이재영 ⸱ 정병수 (2016). 「미디어 이용이 범죄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공안 행정학회보, Vol.64, p.191-217
· 김경희 ⸱ 김계하 (2013). 「정신질환자에 대한 교사의 태도 및 차별과 편견 원인」 - 정신간호학회지, Vol.22 No.2, p.97-106
· Arvaniti,A.,Samakouri,M.,Kalamara,E.,Bochtsou,V.,Bikos,C.,& Livaditis,M.
· (2009). 「보건서비스 직원은 정신질환 환자를 대하는 태도」 - 사회정신과 및 정신의학 역학, Vol.44, p.658-665.
· Overton, S. L., & Medina, S. L. (2008). 「정신병의 오명 - 일지
· 상담 & 개발」, Vol.86 No.2, p.143-151
· 김효정(2000)「정신질환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의료인과 일반인의 비교」 -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노춘희(2000)「정신간호 실습 교육 전,후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 및 태도 비교」 - 정신간호학회지, Vol.9 No.2, p.145-155
· 양수 ⸱ 유숙자(2001)「정신간호학 학습 전,후 정신질환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편견」 - 정신간호학회지, Vol.10 No.3, p.421-435
· 문난영(2018) 「정신질환자에 대한 차별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 : 정신질환자의 범죄 시나리오를 중심으로」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9. No.11, p.371-378
· 최숙희 ⸱ 변은경 (2020)「간호대학생의 정신간호학 실습경험, the jornal of the
·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송은아 ⸱ 안효자(2016) 「정신간호학 실습 간호대학생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편견
· 해소 경험과정, 정신간호학회지,vol25, no.1
· Angermeyer,M.C.,Holzinger,A.,Carta,M.G.,& Schomerus,G.(2011)「생물유전학 정신질환에 대한 설명 및 대중 수용:체계적 검토 인구 조사」 - 영국 정신의학 저널, Vol.199, p.367-372
· 김현숙 ⸱ 엄미란(2005)「간호대학생의 정신간호 교육정도에 따른 자아상태와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 연구」 - 정신간호학회지, Vol.14 No.3, P.276-284
· 조영희(2014), 「정신과 간호사 이미지의 관계, 직무만족도 및 정신건강 간호사의 주장」-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Vol.23 No.3 p.135-143
· 배수현 ⸱ 박정숙(2015)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과 리더십 향상을 위한 교과외 코칭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21 No.2 p.202-214
· 김선희(2012)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자 권리에 대한 인식과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 동신대학교 대학원
· 조영희(2016) 「간호대학생의 공감, 의사소통능력,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가 정신간호사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신간호학회지, Vol.24 No.4 p.294-302
· 이명수, 황태연, 이주훈, 유명이(1996) 「수서·일원 지역 주민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조사」 용인정신의학보, Vol.3 No.2 p.188-202
· 김경희, 김계하 (2013). 정신질환자에 대한 교사의 태도 및 차별과 편견 원인. 정
· 신간호학회지, 2(2), 97-106
· Hale, C. (196). Fear of crime: A review of the literature. International review of Victimology, 4(2), 79-150.
· 김연수 (2010).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원인과 반응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김은경 (2015). 정신질환
· Anthony, W. A. (193). Recovery from mental ilnes: The guiding vision of the mental health service system in the 190s. Psychosocial rehabiltation journal, 16(4), 1.
· 김선아, 금란, 김현례, 김성은 (2010). 정신보건전문가들의 회복에 대한 인식 정도
· 와 업무 만족. 정신건강간호학회지, 19(2), 163-172.
· 이소영 ⸱ 이경희(2016), 「간호대학생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태도」,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Vol.25 No.4, p.3
· 정혜영 ⸱ 서보순(2012), 특수아동교육연구,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분석」 제14권 1호
· 김상두 ⸱ 윤석민(2013), 「체육전공 대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척도의 요인구조 탐색」, 한국특수체육학회지, 제21권 제 1호, p.3-4
· 배정이(2002), 「정신간호학 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인제논총 학술지, Vol.17 No.1, p411-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