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학개론, 중관과 유식 사상
- 최초 등록일
- 2022.11.21
- 최종 저작일
- 2021.10
- 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1) 중관사상
(1) 불생과 불멸
(2) 불일과 불이
(3) 불상과 부단
(4) 불거와 불래
2) 유식사상
(1) 중생의 현실
(2) 중생의 본성
(3) 보살의 수행
본문내용
▶ 중관사상이란 분별심을 세척하여 올바른 진리관을 정립함.
> 분별심이란 곧 대상을 인식할 때 집착하는 마음.
▶ 중관은 정관, 중도와 통함.
> 단, 상 등 극단에 치우치는 사견을 시정하고 중도적인 진리를 올바로 관찰하는 지혜를 말함.
▶ 중관의 중도적인 원리는 용수보살의 팔부중도에서 잘 나타남.
> 팔부중도란, 생과 멸, 상과 단, 일과 이, 거와 래 등 8종의 미망을 제거해주는 사상.
(1) 불생과 불멸
▶ 생멸의 양 극단 부정.
> 삼라만상의 생은 인연이 화합하여 나타난 것이며, 멸하는 것도 인연이 다 되어 사라지는 것 뿐.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