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벌의 정의 및 생태적 가치
- 최초 등록일
- 2022.10.09
- 최종 저작일
- 2020.11
- 1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갯벌의 정의 및 생태적 가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갯벌의 정의
2. 갯벌의 형성
3. 갯벌의 유형
3.1. 퇴적상에 따른 분류
3.2. 땅의 성분에 따른 분류
3.3. 위치에 따른 분류
4. 갯벌의 생태
4.1. 갯벌의 분포
4.2. 갯벌의 생물
4.2.1. 저서동물
4.2.2. 바다새
4.2.3. 갯벌에 사는 식물
5. 갯벌의 기능 및 가치
5.1. 갯벌의 환경적 기능
5.1.1. 자연 정화조의 기능
5.1.2. 자연 재해와 기후 조절
5.1.3. 홍수 및 태풍 조절
5.2. 갯벌의 생태적 가치
5.2.1. 생물 다양성의 보고
5.2.2. 어류 생산 및 서식지 기능
5.3. 그 외의 기능 및 가치
5.3.1. 심미적 기능
5.3.2. 문화적 기능
5.3.3. 경제적 가치
6. 맺는 말
본문내용
1. 갯벌의 정의
‣ 갯벌이란?
갯벌이란 조석의 차이로 인해 나타나는 ‘갯가의 넓고 평평하게 생긴 땅’으로 갯가의 퇴적물 벌판을 뜻하며 여러 조간대 중 연성저질조간대에 속한다. 갯벌은 ‘개펄’ 또는 간석지’라고도 하며 연안습지의 일부분이다. 습지보전법에 정의된 내용에 따르면 연안습지는 간조와 만조의 차이로 강이나 호수, 바다 주변에 나타나는 공간으로, 내륙습지와는 대비되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바닷물이 땅으로 올라와 수위가 높아지는 것을 밀물이라고 하며, 바닷물이 바다로 빠지면서 물의 높이가 낮아지는 것을 썰물이라고 한다. 갯벌은 밀물 때에는 물 밑에 잠기고, 썰물 때에는 드러나는 곳을 의미하며 주로 해안의 경사가 완만하고 밀물과 썰물의 차이가 큰 해안에 퇴적물질이 점점 쌓여 만들어진다. 만조 때에 물속에 잠기고, 간조 때에 물 밖으로 드러나는 갯벌은 육상과 해양 사이에서 하루에 두 번씩 모습을 드러낸다.
이와 같이 갯벌은 육상과 해양이라는 두 생태계가 접하는 지점이며, 두 생태계의 완충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연안생태계의 모태로서의 역할을 한다.
갯벌 지형은 해안육지, 염습지 식생, 갯벌의 순으로 하여 바다로 발달하게 되는데 특히 갯벌 상부에 발달하는 염습지는 육상으로부터 영양염이 공급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매우 높아 주요한 수산물의 생산지로 역할을 한다.
2. 갯벌의 형성
갯벌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밀려오는 파도로부터 어느 정도 닫혀 있어 해안을 침식하는 파랑의 작용이 약해야 하며 유입하천에 의해 운반되는 퇴적물의 양이 많아야 한다. 유입하천은 퇴적물을 운반할 뿐만이 아니라, 풍부한 영양염류나 해양동물의 먹이가 되는 유기 쇄설물을 갯벌에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또한 간조 때 드러나서 공기 중에 노출되는 평평한 부분이 넓게 펼쳐지려면 조차, 즉 만조와 간조 때의 해수면 높이의 차이가 커야 하며 모래나 펄이 쌓이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린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