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1인 미디어, 유튜브에 대하여
- 최초 등록일
- 2022.07.21
- 최종 저작일
- 2022.04
- 4페이지/
MS 워드
- 가격 2,000원

소개글
"A+ 1인 미디어, 유튜브에 대하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2021년 현재까지 뜨겁게 달구는 인터넷문화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 1인 미디어에 대해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우리는 스마트폰, 전자기기와 같은 매체의 발달로 쉽게 접할 수 있으며, 이름이 있는 유튜버나 크리에이터들은 종종 TV에 등장하기도 합니다. 이런 직업이 되고 싶어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직접적인 노동이 없이 소통이나 게임을 통해서 쉬운 방법으로 수익을 얻는다는 점입니다. 그렇게 너도, 나도 되고싶은 직업 TOP 10에 들어가게 된 1인 미디어에 대해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그렇다면 1인 미디어는 과연 무엇일까요? 1인 미디어는 비전문적인 한 개인이 제작하고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현재 백만 명 이상의 시청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에서 게임 방송으로 이름을 알린 ‘대도서관’, 먹방으로 이름을 알려 최근에는 공중파에 나오는 ‘쯔양’이 있습니다.
참고 자료
김양하, 민승기, 이석근, 정완진 (2008). <1인 미디어의 힘>. 서울 : 매일 경제 신문사.
김익현 (2012). <인터넷 방송, 지상파 주도에서 1인 방송까지>. 서울: 한국 언론 진흥재단/신문과 방송.
박수련 (2014, 4, 12). 맛깔나게 게임 대신해주는 남자, 유튜브 중계로 월수입 3500만 원. <중앙일보>, 16면.
박혜림 (2016, 2, 2). 일상으로 파고든 ‘나홀로 문화’ 혼자면 어때?‘獨한 문화’급속확산. <헤럴드경제>. URL: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160202000511
이서희 (2016, 2, 11). 1인 미디어 이끄는 MCN, 방송·영화사를 넘본다. <한국일보>. URL:http://www.hankookilbo.com/v/4b1a77ca75034187ba33612519a2bf5a
황인선 (2014, 2, 13). 아프리카TV 2013년 매출 481억- 영업이익 44억. <한국경제>. URL: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402135090v
“유치원에서 유튜브 가르쳐요” 초등생 장래희망 3위 ‘유튜버’ (kb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