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관리 과제 A+ - 분식회계
- 최초 등록일
- 2022.06.27
- 최종 저작일
- 2022.05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분식회계의 정의
2. 분식회계의 원인 및 분류
1) 자금 차입과 주가 관리를 위한 기업의 분식회계가 생겨난다.
2) 주가를 통해 경영진을 평가해 상여금과 스톡옵션을 제공한다.
3) 비자금과 횡령을 은폐하려한다.
4) 역분식회계
5) 이익을 확대시키고 손실은 축소시킨다.
3. 분식회계의 사례
1) 대우그룹
4. 분식회계의 대처방안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분식회계의 정의
분식회계의 분식(粉飾)의 사전적 의미는 실제보다 더 좋게 보이도록 거짓으로 꾸미는 것을 말하고 분식회계란 회사의 실적을 좋게 하기 위한 회사의 장부 조작을 말한다. 가공의 매출을 기록하거나 비용을 적게 계상하거나 누락시키는 것은 기업 경영자가 결산 재무제표상의 수치를 고의적으로 왜곡시킨 것을 뜻한다.
참고로 우리가 알아둬야 하는 게 있다. 우리가 현재 쓰고 있는 분식회계는 일본식 편으로 쓰인다. 분식회계는 단순히 회계의 수치를 보기 좋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조작한 것으로 범죄이다. 이걸 기업에서 조작한다면 그 수치를 보고 판단하는 투자자와 세금을 계산하는 정부와 금융기관까지 잘못된 값을 가지게 되어 중대한 범죄로 판단 될 수 있다고 본다.
2. 분식회계의 원인
원인을 알아보기에 앞서 분식회계의 목적을 알아봐야 한다. 목적으로는 기업이 금융으로부터 돈을 빌리는 것과 세금을 더 적게 내려고 하고 주가를 조작하여 투자자에게 잘못된 인식을 주어 더 많은 이익을 내려는 것에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어떤 원인이 있을지 알아본다.
1) 자금 차입과 주가 관리를 위한 기업의 분식회계가 생겨난다.
기업 재무상태가 불량하다고 느끼면 자금 조달은 어려워진다. 기업은 자신의 기업이 우량 기업으로 판단되어 자금 차입과 더 낮은 금리를 받아 금융비용을 적게 소비하려고 한다. 우량 기업이라는 인식을 주기 위해 매출액을 많이 나오게 하고 순이익을 높여준다. 이렇게 우량 기업의 이미지를 심어주어 주가는 안정적으로 상승하고 그 효과로 투자자들의 믿음을 받게 되는 것이다.
참고 자료
김병조, “분식회계 사례연구를 통한 경영의 투명성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7
이미숙, “우리나라 기업의 분식회계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