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의 사실주의,자연주의,표현주의,상징주의
- 최초 등록일
- 2022.06.23
- 최종 저작일
- 2021.06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각 연극의 기원, 정의, 특징, 무대, 한계, 대표인물 등을 서술하고 비교했습니다.
8페이지 분량으로 꽤 공을 들여 정리하고, 공부했습니다.
연극, 연기를 공부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서울예대 연기과에서.
목차
1. 사실주의
2. 자연주의
3. 표현주의
4. 상징주의
본문내용
□ 사실주의
■ 사실주의 연극의 기원
: 19세기 말 감상주의적인 낭만주의 연극의 비현실성에 대한 반동으로 일어나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엽까지 유럽의 여러 나라에서 성행했던 연극운동이다.
과학의 발전, 의학의 발달, 기술 분야의 근본적 변화로 서구사회가 급변하면서 연극예술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19세기말 시대적배경: 노동계급의 부상)
■ 사실주의 연극의 정의
: 사실주의는 관객이 눈 앞에 보이는 것을 ‘일상적’인 현실의 모습이라고 받아들이도록 삶을 재현하려는 공연스타일이다. (일반적으로, 하지만 동일하지는 않게 ‘자연주의적’을 의미)
: 인간과 그를 둘러싼 환경이나 사회를 객관적인 관찰과 과학적인 실험을 토대로 무대 위에 현실과 똑같이 재현하고자한 연극운동이다.
■ 사실주의 연극의 특징
: 경우에 따라 내보이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관점에서 일상적인 삶과 흡사한 연기(연극)
: 희곡의 주제나 소재가 실제 우리들의 일상생활에서 있을 수 있는 문제를 다룸.
1. 산문체 형식의 대사
: 과거의 희곡은 운문형식을 주로 사용했지만, 입센 이후에는 산문형식이 많이 등장했다.
(운문으로 쓰여지고, 마녀, 유령 같은 초자연적인 존재들이 등장하는 전 시대의 연극과는 달리 사실주의 연극은 삶을 거울처럼 비춰 줌)
2. 상세한 무대묘사와 지시
: 과거의 그리스, 로마, 셰익스피어, 낭만주의극의 무대지시는 배우들의 입/퇴장과 죽음 등을 간략히 묘사했지만, 사실주의 극에서는 무대지시와 함께 무대 묘사가 구체화되었다.
←안톱체홉_갈매기 4막
3. 소시민적 서민연극
: 소시민적 서민연극으로 관찰과 객관성이 사실주의 극의 기초가 된다.
4. 논리적 구성
: 과장이나 우연이 없이 원인과 결과가 분명하고 논리적으로 전개되는 사건들을 다룬다.
5. 극의 진행과 함께 주인공의 성격변화
: 자연과학적 발전도식이 주인공의 성격에 반영, 주인공은 영웅이 아닌 평범한 시민이다.
(연극의 목적이 관객의 관심을 사회 문제로 유도하여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데 있었기 때문)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