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행본]
· 최혜실, 『신여성들은 무엇을 꿈꾸었는가 - 편견, 인습, 제도와 맞선 나혜석, 김명순, 김일엽의 삶과 문학』, 생각의 나무, 2000
· 이상경, 『한국 근대 여성 문학사론』, 소명출판, 2002
· 안숙원 外, 『한국 여성문학 비평론』, 개문사, 1995
· 김미현, 『한국 여성소설과 페미니즘』, 신구문화사 1996
· 김정자, 『한국 여성 소설 연구』, 민지사, 1991
· 김일엽, 「진리를 모릅니다.」,『未來世가 다하고 남도록』, 인물 연구소, 1974
· 김일엽, 「진리를 모릅니다.」,『한국근대여류선집』3, 김상배 편, 솔뫼, 1972
· 이호숙, 「위악적 자기 방어기제로서의 에로티즘」.『페미니즘과 소설비평』, 한길사. 1995
· 김상배 편, 『김탄실-나는 사랑한다』, 솔뫼, 1981
· 김영덕, 「한국 근대의 여성과 문학」, 『한국 여성사』∥, 이대 출판사, 1972
· 전대웅, 『신여성과 그 문제점』. 효성 여대, 한국 여성문제 연구소, 1976
· 이상진, 「‘신여자’의 자각과 욕망」,『페미니즘과 소설 비평』, 한국여성소설연구회, 한길사, 1995
· [잡지, 학술 잡지]
· 김지향, <한국 근대 여성문학의 기층의식 연구 - 나혜석과 김탄실의 문학을 중심으로>, 《한양여자 전문대학 논문집 16》, 1993.2
· 박영혜;이봉지, <한국 여성소설과 자전적 글쓰기에 관한 연구 - 나혜석, 박완서, 서영은, 신경숙을 중심으로 >, 《여성연구 제40집》, 2001.12
· 김복순, <“딸의 서사”에 나타난 타자의 이중성 : 나혜석의 「경희」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논집 제23호》, 2001.6
· 박정애, <초기 ‘신여성’의 사회 진출과 여성교육>,《여성과 사회》 제11호, 한국여성연구소 편, 2000
· 윤혜원, <한 ․ 일 개화기 여성의 비교연구 - 자아의식의 근대화 과정을 중심으로>, 《아세아 여성 연구 제 12집》, 숙명여자 대학교, 아세아 여성문제 연구소, 1973.12
· 함대훈, <조선 신여성론>, 신여성 재음미 특집, 《여성》, 1937.2
· 홍종인, <결혼에 나타난 신여성>, 《여성》, 1937.2
· [기본 자료(TEXT)]
· 나혜석, 「경희」, 『한국 여성 소설선 Ⅰ』, 갑인 출판사, 1988
· 이상경, 『나혜석 전집』, 태학사, 2000
· 송명희, 『폐미니즘 정전 읽기 - 근대 소설편』, 푸른사상사. 2000
· [학위 논문]
· 이정옥, 「한국 여류소설 연구 - 1920, 30년대를 중심으로」, 서강대 석사학위 논문, 1988
· 황수진, 「한국 근대 소설 속에 나타난 신여성상 연구」, 건국대 박사학위 논문,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