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남훈, 「기본소득 도입 모델과 경제적 효과」, '진보평론' 제45호, 진보평론, 2010.
· _____, 「한국에서 단계적 기본소득 도입을 위한 재정 모형」,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2015.
· _____, 「한국형 기본소득 모델의 가구별 소득재분배 효과」, '한국사회경제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사회경제학회, 2017.
· 김건위, 최인구, 「기본소득제의 예상 쟁점 및 정책적 실현가능성에 대한 시론적 연구」,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제7권 제2호,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17.
· 김교성, 「기본소득 도입을 위한 탐색적 연구」, '사회복지정책' 36권 2호, 한국사회복지정책연구원, 2009.
· 김교성, 백승호, 서정희, 이승윤, '기본소득이 온다', 사회평론아카데미, 2018.
· 김미나, 김원철, 〈코로나가 공론화 불지핀 ‘기본소득’…차기 대선주자들 ‘백가쟁명〉, 《한겨례》, 2020.06.09.
· 김미라, 〈기본소득제 도입 찬반 여론 '팽팽'..찬성 48.6% vs 반대 42.8%〉, 《한겨례》, 2020.06.08.
· 김병인, 「기본소득은 사회보장을 위한 최선의 대안인가?: 사회정책의 필요(needs) 개념에 입각한 비판적 검토」, '사회복지정책' 제43권 4호,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6.
· 김수완, 안상훈, 김영미, 「기본소득, 누가 왜 지지하는가?: 4차산업혁명과 일자리축소 담론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회보장연구' 제34권 제4호, 한국사회보장학회, 2019.
· 김용민, 「노동의 종말과 기본소득 그리고 새로운 대안사회」, '문학과환경' 제13권 2호, 문학과환경학회, 2014.
· 김인춘, 「핀란드 복지국가와 기본소득 실험: 배경, 맥락, 의의」, '스칸디나비아연구' 제18호, 한국스칸디나비아학회, 2016.
· 김태형, 〈코로나19로 부활한 기본소득 찬성론 "노동 못해도 소득 지급"〉, 《머니투데이》, 2020.06.17.
· 김혜연, 「이데올로기적 다양성에 따른 기본소득의 정책 특성에 관한 연구」, '비판사회정책' 제42호,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 2014.
· 노대명, 「재난기본소득 논의를 통해 본 한국 소득보장제도의 문제점과 향후 과제」, '보건복지포럼' 281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 박석삼, 「기본소득을 둘러싼 쟁점과 비판」, '노동사회과학' 제3호, 노동사회과학연구소, 2010.
· 백승호, 「기본소득 모델들의 소득재분배 효과 비교분석」, '사회복지연구' 41권 3호,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0.
· 백승호, 이승윤, 「기본소득 논쟁 제대로 하기」, '한국사회정책' 제25권 제3호, 한국사회정책학회, 2018.
· 박홍규, 「기본소득 연구」, '민주법학' 36권 36호, 도서출판 관악사, 2008.
· 복거일, 김우택, 이영환, 박기성, 번양규, '기본소득 논란의 두 얼굴', 한국경제신문, 2017.
· 서정희, 조광자, 「보편적 복지제도로서의 기본소득」, '진보평론' 제45호, 진보평론, 2010.
· 서정희, 김교성, 백승호, 이승윤, 「한국형 기본소득의 ‘이상적’ 모형과 ‘단계적’ 이행방안」, '한국사회보장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2017년 1호, 한국사회보장학회, 2017.
· 송형국, 〈최재천 교수 “기본소득이 창의 가져올 것”〉, 《KBS NEWS》, 2020.06.15.
· 안현효, 「인지자본주의와 기본소득 : 기본소득의 유지 가능성」, '마르크스주의 연구' 9권 1호,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2.
· 양재진, 「기본소득은 미래 사회보장의 대안인가?」, '한국사회정책' 제25권 제1호, 한국사회정책학회, 2018.
· 양재진, 〈기본소득, 막연한 기대감 뒤에 감춰진 것들〉, 《프레시안》, 2020.06.03.
· 오준호, '기본소득이 세상을 바꾼다', 개마고원, 2017.
· 유영성, 정원호, 김병조, 이관형, 김을식, 마주영,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재난, ‘재난기본소득’이 해법이다!」, '이슈&진단', 경기연구원, 2020.
· 유종성, 「기본소득의 재정적 실현가능성과 재분배효과에 대한 고찰」, '한국사회정책' 제25권 제3호, 한국사회정책학회, 2018.
· 윤홍식, 「기본소득, 복지국가의 대안이 될 수 있을까?-기초연금, 사회수당, 그리고 기본소득」, '비판사회정책' 제54호,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7.
· _____, 「복지국가와 기본소득들을 위해」, '월간 복지동향' 제239호, 참여연대사회복지위원회, 2018.
· 이관형, 「기본소득 왜, 어떻게, 그리고 몇 가지 쟁점」, '월간 공공정책' 172권, 한국자치학회, 2020.
· 이대희, 〈경기硏 "재난기본소득 이후 카드 매출액 8.4% 증가""〉, 《프레시안》, 2020.06.10.
· 이명선, 〈경기도민 98% "재난기본소득 알아"...86% "지급, 잘했다"〉, 《프레시안》, 2020.04.29.
· _____,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효과 있네'...빅데이터 분석 매출 증가 '뚜렷’〉, 《프레시안》, 2020.05.08.
· 이명헌, '복지국가와 기본소득 : 논쟁과 전략의 탐색', 경북대학교출판부, 2014.
· 이승주, 「기본소득의 소득 분배를 통한 소비효과 예측」, '한국행정연구' 29권 1호, 한국행정연구원, 2020.
· 이향우, 「기본소득에 관한 사회적 합의 도출을 위한 담론구조 연구」, 충북대학교 세종국가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 이해진, 〈재난지원금 준지 일주일만에 경기도 경기 정말 숨통 트였다〉, 《머니투데이》, 2020.04.28.
· 장인호, 「기본소득제도의 논의배경과 한계에 관한 연구」, '미국헌법연구' 제28권 제3호, 미국헌법학회, 2017.
· 장충식, 〈재난기본소득 사용, 최고 수혜자는 '동네가게'〉, 《파이낸셜뉴스》, 2020.05.22.
· 정원호, 〈기본소득 지급액이 '충분'할 필요는 없다〉, 《프레시안》, 2020.06.16.
· 조경엽, 김영덕, 「기본소득제가 소득재분배와 고용에 미치는 영향」, '국제경제연구' 23권 3호, 한국국제경제학회, 2017.
· 하어영, 〈“숨은 쉬게 됐다” 재난기본소득 한 달 이야기〉, 《한겨레》, 2020.05.09.
· 한인정, 「기본소득 담론연구 : 우리가 말하는 기본소득, 그들이 이해하는 기본소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춘추계학술대회',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8.
· Gerhard Bosch, 「보편적 기본소득은 미래의 소득 보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 '국제노동브리프' 15권 10호, 한국노동연구원, 2017.
· Raventos, “Basic Income : The Material Conditions of Freedom”, Pluto Pr, 2007.
· Van Parijs, “Competing Justifications of Basic Income”, Arguing for Basic Income, London : Verso,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