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학실험]A+ 항균활성 측정 예비레포트
- 최초 등록일
- 2022.04.13
- 최종 저작일
- 2016.06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Purpose
2. Principle
3. Reagent & Equipment
4. Method
5. Result
본문내용
Purpose
Paper disc법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항균물질의 항균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Principle
항균(Antibacterial)
항균작용
- 약제나 생리활성물질에 의한 세균과 진균의 생육저해작용
항균 스펙트럼
- 항생물질이 항균작용을 미치게 할 수 있는 미생물의 범위
최소생육저해농도 (MIC,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 미생물의 발육을 늦추거나 막는 어떤 물질의 최저농도
- 공여되는 균주의 종류 특성에 따라 항생물질의 항균력 및 항균스펙트럼을 알 수 있어 항생제 개발에는 필수불가결의 실험항목
항생물질
항균작용을 갖는 물질
- 미생물과 기타 세포의 증식을 저해하는 물질
- Anti(항) + bios(생명체) 로부터 유래되었음
- 최초의 항생물질 – A. Fleming이 1929년 Penicillium notatum 발견
(Penicillium notatum 이 포도상구균의 증식 억제)
현재 수만 종의 항생물질 발견
항생물질의 작용기작
항균작용을 갖는 물질
미생물과 기타 세포의 증식을 저해하는 물질
Anti(항) + bios(생명체) 로부터 유래되었음
최초의 항생물질 – A. Fleming이 1929년 Penicillium notatum 발견
(Penicillium notatum 이 포도상구균의 증식 억제)
현재 수만 종의 항생물질 발견
항생물질의 작용기작
Paper disc method(디스크 확산법)
기초배지로 Muller-Hinton agar 배지가 흔히 사용됨
디스크 확산법에서는 억제대의 지름을 측정해서 균주의 시험항균제에 대한 감수성 양상을 결정함
장점 : 시험이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들며, 시험항균제를 수시로 바꿀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