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이해하기
- 최초 등록일
- 2022.01.19
- 최종 저작일
- 2020.10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홍콩 이해하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홍콩인의 정체성은?
1. 스타페리부두와 황후부두
2. 문화유산과 역사유적 보존운동
3. 우리의 도시
Ⅱ.우산혁명과 그 후
1. 우산혁명 발발 원인
2. 그 후 홍콩은
Ⅲ.중국과 홍콩
1. 2019년 홍콩시위
Ⅳ.에세이를 마치며
Ⅴ.참고자료
본문내용
Ⅰ.홍콩인의 정체성은?
-스타페리부두와 황후부두
식민시대 만들어져 홍콩의 상징이 되어온 스타페리부두와 종탑의 보존은 탈식민 문제와 연관될 수밖에 없었고 보존을 주장하는 측이나 이들을 비판하는 측 모두 ‘탈식민지화vs애국’이라는 이분법적 담론을 사용하였다. 보존을 주장하는 사람들을 비판하는 측에서는 식민시대의 유산에 불과한 것을 왜 굳이 교통정체를 야기하면서까지 보존하려 하는가, 갑자기 무슨 ‘집단기억’운운인가, 결국은 식민시대를 그리워하기 때문이 아닌가 하는 의혹과 비판을 제기했다. 반면 보존을 주장하는 측에서는 이에 맞서서, 식민 잔재를 없애라며 탈식민을 이야기하는 이들 즉 반대측의 의도는 사실 중앙정부에의 충성이라며 비판했다.
집단기억이 탈식민화 문제와 결부되는 상황은 황후부두 사건에서 더욱 두드러지는데, 이는 식민시대 총독들이 영국에서 와서 홍콩에 첫발을 디디는 곳이 바로 황후부두였기 때문이다.
참고 자료
‘본토’라는 유령: 토착주의를 넘어선 홍콩 정체성의 가능성, 한국사회과학연구회, 장정아, 2016
우산혁명은 왜 지속되지 못했는가?:홍콩 시위의 발발과 파급력, 그리고 한계, 동아연구소, 김진용, 2016
홍콩의 집단 기억과 시위 그리고 정체성 정치, 아태지역연구센터, 이종화, 2018
2019년 홍콩 시위에 대한 중국의 대응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인권 정치학의 제이론을 통해 본 중국의 행동, 극동문제연구소, 유영수,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