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예술(소설/게임/노래/드라마)에서의 <구운몽> 재해석
- 최초 등록일
- 2022.01.16
- 최종 저작일
- 2020.11
- 5페이지/
MS 워드
- 가격 1,000원

목차
1. 서론
2. 본론
1) 소설
2) 게임
3) 노래
4) 드라마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옛날부터 우리는 다양한 문학을 향유했으며 이에 따라 문학은 시대에 맞추어 변화했다. 현재에도 문학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우리 삶에 자리잡았고, 또한 대다수의 매체가 과거 문학의 영향을 받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현대의 예술 작품들이 고전문학 작품 중 김만중의 <구운몽>의 영향을 받은 부분에 주목해서 살펴볼 것이다.
2. 본론
<구운몽>은 17세기 조선 숙종 때의 문신이자 소설가인 서포 김만중이 쓴 한글 소설이다. 이야기의 주인공인 성진은 속세의 부귀영화를 꿈꾸자 육관 대사에게 벌을 받아 인간세상의 양소유로 환생한다. 그는 인간 세상에서 팔선녀와 부귀영화를 누리지만 이것이 헛된 꿈임을 깨닫고 성진으로 돌아와 도를 닦아 극락세계로 가는데, 이는 독자에게 세속적 욕망이 덧없다는 것을 알려준다. 김만중의 <구운몽>은 현대의 소설, 게임, 노래, 드라마와 같은 다양한 장르의 작품에도 영향을 미쳤다.
1) 소설
김만중의 <구운몽>은 다양한 장르의 작품의 모티브가 되었는데, 이 중 먼저 알아볼 것은 1962년에 발표한 최인훈의 <구운몽>이다. 이는 원작인 김만중의 <구운몽>을 패러디한 소설로, 원작과 줄거리는 다르지만 ‘꿈’이라는 소재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동일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참고 자료
한승원의 <꿈>에 나타난 삶의 의미 -<구운몽>의 계승과 변용으로서 (이동길)
SBS 뉴스 “’별그대’는 ‘구운몽’ 패러디… 고전문학 해외에 알려야”
<인생은 꿈>과 <구운몽>의 비교연구: 세히스문도와 양소유의 꿈 (나송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