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8). 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정책보고서 2018-38)
· 보건복지부(2019). 보건복지통계연보. 제65호.
· 병원간호사회(2020). 병원간호인력 배치현황 실태조사
· 박선희(Park Sunhee),& 이태화(Lee Taewha). (2018). 국내 병원간호사의 재직 영향요인. 간호행정학회지, 24(2), 139-148.
· 최숙영(Choi Sug Young),& 이미애(Lee Mi-Aie). (2018). 병원간호사의 직무착근도와 간호전문직관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24(3), 234-244.
· 성미혜(Sung Mi-Hae),& 최은영(Choi Eun Young). (2012). 응급실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수행능력과 재직의도. 기본간호학회지, 19(2), 244-252.
· 조결자(Kyul Ja Cho),& 송미령(Mi Ryeong Song). (1997). 간호학생의 간호관 형성과 변화양상. 간호행정학회지, 3(1), 17-35.
· Aiken L H ,Clarke S P ,Sloane D M ,Lake E T ,& Cheney T . (2008). Effects of Hospital Care Environment on Patient Mortality and Nurse Outcomes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8(5), 223-229.
· 김남희. (2019). 조직 구성원의 성장잠재력으로서 학습민첩성 영향요인 및 성과요인 규명 (국내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 이윤정,& 김귀분. (2008). 임상간호사의 이직 경험.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2), 248-257.
· 권정옥,& 김은영. (2012). 중소병원 간호단위의 간호근무환경이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18(4), 414-423.
· 이지원,어용숙,& 하영수. (2014). 간호조직문화가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8(3), 75-87.
· 이태화(Tae Wha Lee),강경화(Kyeong Hwa Kang),고유경(Yu Kyung Ko),조성현(Sung Hyun Cho),& 김은영(Eun Young Kim). (2014). 국내외 간호사 인력정책의 현황과 과제. 간호행정학회지, 20(1), 106-116.
· 도은수(Eun Su Do),& 김미예(Mi Ye Kim). (2012). 의료기관 규모별 간호사가 인지하는 내부마케팅,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비교. 간호행정학회지, 18(1), 56-66.
· 홍지연(Hong Ji Yeon),채정미(Chae JungMi),송미라(Song Mi Ra),& 김은미(Kim Eun Mi). (2017). 의료기관별 간호인력 활용방안.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8), 162-170.
· 김경미,김숙영,황혜남,황혜민,김효은,& 임은선. (2019). 재활병원 간호사의 직무착근도, 간호업무환경, 간호전문직관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재활간호학회지, 22(2), 134-141.
· 박정려,& 권수혜. (2018). 중소병원 간호사의 직무특성, 간호전문직관 및 내재적 동기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장기요양학회 추계학술대회자료집, 2018(-), 202-202.
· 정봉재,김혜숙,황상규,박정훈,송수경,정미영,임경민,& 김미숙. (2011). 간호 인력난에 따른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 1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 중심. 보건의료산업학회지, 5(1), 15-29.
· 고순희,& 정복례. (2004). 종합병원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과 직무만족. 간호행정학회지, 10(3), 335-344.
· 류영옥(Ryu Yeong Ok),& 고은(Ko Eun). (2015). 중소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간호전문직관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22(1), 7-15.
· DeRUE D S ,ASHFORD S J ,& MYERS C G . (2012). Learning Agility: In Search of Conceptual Clarity and Theoretical Grounding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5(3), 258-279.
· 고유경. (2009). 임상간호사가 인지한 팀학습분위기와 집단성과. 간호행정학회지, 15(1), 72-80.
· 류혜현 ( Ryu Hyue-hyun ),& 오헌석 ( Oh Hunseok ). (2016). 학습민첩성 연구의 쟁점과 과제. HRD연구, 18(4), 119-147.
· 임창현 ( Im Changhyun ), 위영은 ( Wee Youngeun ),& 이효선 ( Lee Hyoseon ). (2017). 학습민첩성(Learning Agility) 측정도구 개발 연구. HRD연구, 19(2), 81-108.
· 김혜영,& 이희수. (2009). 간호사들의 무형식학습 양상에 관한 사례연구. 職業 敎育 硏究, 28(3), 181-207.
· 이인숙,& 임경희. (2021). 간호대학생의 성취동기가 학습민첩성에 미치는 영향: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7(1), 80-90.
· Bennett Clare L ,James Alison H ,& Kelly Daniel. (2020). Beyond tropes: Towards a new image of nursing in the wake of COVID‐19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9(15-16), 2753-2755.
· 김명희. (2008). 간호 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요인 (국내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서울.
· 윤은자,권영미,& 안옥희. (2005). 간호전문직관 측정도구 개발.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6), 1091-1100.
· 김영미,& 이여진. (2012). 중소병원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임파워먼트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1(3), 258-265.
· 권성복,박미정,송형미,& 문지선. (2017). 중소병원 간호사의 직무배태성과 감성지능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11(1), 55-66.
· 김은영(Eun-Young Kim),& 임경숙(Kyoung-Suk Lim). (2018). 종합병원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11), 307-318.
· 강윤지,& 정귀임. (2019). 중소병원에서 암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감성지능, 간호근무환경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sian Oncology Nursing, 19(4), 233-241.
· 김영순(Young Soon Kim),& 박정숙(Jung Suk Park). (2013). 전문간호사의 전문직업성, 임상적 의사결정능력 및 간호업무성과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19(5), 613-621.
· 임경민,& 권수혜. (2016). 종합병원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 영향요인. 성인간호학회 학술대회, 2016(06), 182-182.
· 이현숙(Hyun Sook Lee),& 염영희(Young Hee Yom). (2015).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배태성과 간호업무성과와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과 사회적 지지의 역할. 간호행정학회지, 21(4), 375-385.
· 윤유미,& 유명숙. (2017). 임상간호사의 감성역량, 학습조직화 및 간호조직문화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11(4), 29-40.
· 고유경,이태화,& 임지영. (2007). 임상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 측정도구 개발.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3), 286-294.
· 하나선,& 최정. (2010). 간호사의 간호역량이 직무만족과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16(3), 286-294.
· 이수인(Lee Su-In),& 이은주(Lee Eun-Ju). (2016). 임상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감정노동 및 자아탄력성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1(4), 267-276.
· 정명순,고가연,최영순,손은진,& 장지혜. (2016). 간호사의 일터학습과 직무만족 및 간호업무성과와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 학술대회, 2016(12), 80-80.
· 정인옥,& 한종희. (2020). 요양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 간호정보역량 및 간호근무환경이 간호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10), 334-344.
· 박소희,& 박민정. (2018). 임상간호사의 감성지능과 간호근무환경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6(4), 175-184.
· 정은하,& 한수정. (2020). 가정전문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업무성과. 간호행정학회지, 26(4), 409-418.
· 김신희(Kim Shin Hee),박숙경(Park Sook Kyoung),& 이명하(Lee Myung Ha). (2019). 종합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이 간호업무성과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무배태성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간호행정학회지, 25(3), 208-219.
· 김문자(Moonja Kim),이지원(Ji-Won Lee),& 박정숙(Jeong-Suk Park). (2017). 중소병원 간호사의 병상규모별 간호업무환경과 직무배태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1), 222-230.
· 조은희,최모나,김은영,유일영,& 이남주. (2011). 한국어판 간호근무환경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3), 325-332.
· 김주이,& 이태화. (2016). 간호근무환경, 공감피로 및 공감만족이 간호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임상간호연구, 22(2), 109-117.
· 박소희,강지연,Park So-Hee,& Kang Jiyeon. (2015). 한국형 간호사 근무환경 측정도구 개발 및 평가. 중환자간호학회지, 8(1), 50-61.
· 이미혜,& 김종경. (2013). 병원규모에 따른 간호사의 간호업무환경, 전문직업성과 직무만족의 비교. 간호행정학회지, 19(4), 470-479.
· 손숙연. (2019).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역할갈등이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경상남도.
· 권세현,& 이진구. (2020). 직무도전성, 학습민첩성, 업무몰입, 혁신적 업무행동의 구조적 관계 - K기업을 중심으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2(2), 83-107.
· 김영일,& 유기웅. (2020). 중등교사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습민첩성, 긍정심리자본, 직무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인문사회 21, 11(2), 1225-1240.
· 오명진,& 김우철. (2020). A사 자동차 영업사원의 학습민첩성, 긍정심리자본, 고객지향성, 영업성과 간의 구조적관계. 역량개발학습연구, 15(1), 57-87.
· 김혜순. (1982). 신규 간호원의 스트레스요인에 관한 분석적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延世大學校, 서울.
· Moos, R. H. (1974). Work environment scale manual.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
· Lake, E. T. (2002). Development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5(3), 176-188.
· Hallin, K., & Danielson, E. (2008). Registered Nurses' perceptions of their work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J Adv Nurs, 61(1), 62-70.
· Chiok, Foong Loke, J. (2001). Leadership behaviors: effects on job satisfaction, productiv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 Nurs Management, 9(4), 191-204.
· J. Needleman, P. Buerhaus, S. Mattke, M. Stewart, K. Zelevinsky. (2002). Nurse-staffing levels and the quality of care in hospital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46(22), 1715-1722.
· L. H. Aiken, S. P. Clarke, D. M. Sloane, J. Sochalski, J. H. Silber. (2002). Hospital nurse staffing and patient mortality, nurse burnout, and job dissatisfaction.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8(16), 1987-1993.
· S. P. Clarke, D. M. Sloane, L. H. Aiken. (2002). Needlestick injuries to nurses, in context. LDI Issue Brief, 8(1), 1-4.
· X. W. Zhu, L. M. You. (2012). Nurse staffing levels make a difference on patient outcomes: a multisite study in Chinese hospital.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44,(3), 266-273.
· E. Cho, D. L. Chin, S. Kim, O. Hong. (2015). The relationships of Nurse Staffing Level and Work Environment with Patient Adverse Event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48(1), 74-82.
· L. Diya, K. Van den Heede, W. Sermeus, E. Lesaffre.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in-hospital mortality, readmission into the intensive care nursing unit and/or operating theatre and nurse staffing level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8(5), 1073-1081.
· B. Kalisch, K. H. Lee. (2014). Staffing and job satisfaction: nurses and nursing assistant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2(4), 465-471.
· Hampton, G. M., & Hampton, D. L. (2004). Relationship of professionalism, rewards, market orientation and job satisfaction among medical professionals: The case of Certified Nurse-Midwives. J Bus Res, 57(9), 1042-1053.
· Klopper HC, Coetzee SK, Pretorius R, Bester P. (2012). Practice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of critical care nurses in South Africa. J Nurs Manag. 2012 Jul;20(5):685-95.
· Needleman, J., Buerhaus, P., Mattke, S., Stewart, M., & Zelevinsky, K. (2002). Nurse-staffing levels and the quality of care in hospital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46(22), 1715–1722.
· Lombardo, Michael & Eichinger, Robert. (2000). High Potentials as High Learners. Human Resource Management - HUM RESOUR MANAGE. 39. 321-329.
· Lake E T ,& Friese C R . (2006). Variations in Nursing Practice Environments: Relation to Staffing and Hospital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55(1),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