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현대문화- 현대문화의 속성을 중심으로 한국 대중문화에 관하여 기술하고 구체적인 문화 현상을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20.12.13
- 최종 저작일
- 2020.12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현대문화의 속성을 중심으로 한국 대중문화에 관하여 기술하고 구체적인 문화 현상을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목차
1. 현대문화의 속성
(1) 현대성
(2) 현대문화
2. 한국 현대문화의 속성
3. 한국의 대중문화
4. 한국 대중문화의 현상: 한류 현상
참고문헌
본문내용
현대성은 낡은 질서를 해체하여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시대 정신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대적인 삶은 수많은 원천에서 비롯되었다. 인간의 자연 통제력을 증진하는 과학적인 지식을 기술로 변화시켰고, 새로운 환경을 만들어 냈으며, 낡은 환경을 파괴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의 전반적인 속도를 가속했으며, 협동력의 새로운 형태와 계층 간의 대립을 일으켰던 생산 설비의 산업화, 급속하게 격변하는 도시의 성장, 역동적으로 발전할 뿐만 아니라 가장 다양한 사람들과 사회를 하나로 결합하고 묶어버리는 대중매체의 체계, 많은 사람이 참여하는 거대한 사회운동과 정치, 경제적으로 주도권을 가지고 있는 지배자들에게 도전하고 자신들의 삶에 대해서 통제권을 쟁취하려고 노력하는 피지배 민족들, 자본주의 세계시장 등은 현대성을 보여주고 있다. 즉 현대성이란 기존의 질서를 거부하고 새로움을 추구하는 정신으로서, 형식을 혁신함으로써 새로움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참고 자료
배론 원격평생교육원 한국의 현대문화 교안
우창호(2009), 현대 대중문화 이해와 목회적용 가능성 연구, 숭실대학교 기독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지혜(2016), 90년대 이후 대중문화와 한국 기독교회의 대응에 대한 연구 : 변혁적 문화관을 중심으로 김지혜, 장로회신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최영화(2014), 신한류의 형성과 한국사회의 문화변동 : 이명박 정부의 한류 정책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임몽로(2017), 중국 시청자의 한국 대중문화 소비 결정요인 분석 : 문화콘텐츠 내부요인과 현지시장 외부요인을 중심으로, 忠南大學校 大學院, 석사학위 논문
마샬 버만(2004), 현대성의 경험, 이만식 옮김, 현대미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