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미숙, 2013, “사회복지사의 소진 극복을 위한 실존주의 상담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대동, 2005, “ 실존주의 상담에서의 죽음의 의미와 상담교육적 기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정희 역, 2004, 『현대 심리치료』, Corsini, R. J., and Wedding, D., 2000, Current psychotherapies, 서울: 학지사.
· 김춘경·이수연·최웅용·홍종관 역, 2008, 『상담 및 심리치료의 이해』, Stephen Palmer, 2000, 서울: 학지사.
· 김형란, 2013, “상담학개론 교재에 나타난 상담이론 내용분석”,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두은미, 2011, “교류분석 상담과 실존주의 상담의 이론 비교”. 『교류분석연구』, 2(2), 71-85.
· 박찬국, 2001, 『에리히 프롬과의 대화』, 서울: 철학과현실사.
· 백상창 역, 2010, 『자아를 잃어버린 현대인』, Rollo May, 2009, Man's search for himself, 서울: 문예출판사.
· 심성보, 2008, “실존주의적 상담기법을 통한 인성교육”, 『초등도덕교육』, 26, 61-93.
· 심양섭, 2011, “빈센트 반 고흐 미술의 기독교적 의미”. 『신앙과학문』, 16(3), 47-172.
· 양명숙·김동일·김명권·김성희·김춘경·김형태·문일경·박경애·박성희·박재황·박종수·이영이·전지경·제석봉·천성문·한재희·홍종관, 2013, 『상담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 오제은, 2009, “상담일반”, 『상담학연구』, 10(3), 1305-1325.
· 오제은 역, 2007, 『칼 로저스의 사람-중심 상담』, Carl Rogers, 1995, (A)way of being, 서울: 학지사.
· 이대순, 2010, “공황장애의 실존적 불안분석과 기독교 상담의 가능성 연구”,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임경수 역, 2007, 『실존주의 심리치료』, Irvin D. Yalom, Existential psychotherapy, 서울: 학지사.
· 조현춘·조현재·문지혜·이근배·홍영근 역, 2013,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Gerald Corey, 2013,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서울: 센게이지러닝코리아.
· 주리애, 2010, 『미술치료학』, 서울: 학지사.
· 천성문·김진숙·김창대·신성만·유형근·이동귀·이동훈·이영순·한기백, 2013,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개념 및 사례』, Richard S. Sharf, 2012, Theories of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 concepts and cases. 5th ed., 서울: 센게이지러닝코리아.
· 최현주, 2012, “타로의 상징을 이용한 실존주의 상담연구”,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현명호·유제민 역, 2011, 『상담 및 심리치료의 통합적 접근』, Gerald Corey and Robert Haynes, (The)art of integrative counseling, 서울: 센게이지러닝코리아.
· 현정환, 2013, 『상담심리학 : 상담이론·실제·연습』, 파주: 양서원.
· 홍푸르메, 2013, “실존주의 심리학 관점에서 본 미술치료- 죽음과 불안을 중심으로 -”,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Marianne Corey and Gerald Corey, 2010, Becoming a Helper, CA: Brooks C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