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향신문, 2012, “신생아 안은 17세女, 지하철역 화장실로…시체 유기”, 2012년 8월 29일.
· 공미혜·성정현 외, 2010, 『여성복지론』, 서울: 신정.
· 교육과학기술부, 2008, “학생미혼모 실태조사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 광주일보, 2012, “미혼모 아파트 투신 숨져”, 2012년 7월 2일.
· 김유경·임성은, 2011, “해외입양 줄이기 종합대책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김혜영, 2013, “청소년 한부모 지원정책의 쟁점과 방향: 생활실태와 현황을 중심으로”, 『젠더와문화』, 6(1), 7-41.
· 김혜영ㆍ선보영, 2010, “양육미혼모의 삶과 자립 지원 방안”, 『제60차 여성정책포럼- 미혼모의 현실과 자립지원방안 자료집』, 한국여성정책연구원, 69~99.
· 김혜영 외, 2009,“미혼부·모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와 의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노상학, 1996, “미혼모와 혼외자를 위한 사회복지 대책 연구”. 『강남대논문집』, 사회과학편 27, 183-229.
· 목경화, 2012, “미혼모 자립지원 대책 방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매일경제, 2012, “아동 한해 8000명 버림받고 노인 5명중 1명 혼자 살아”, 2012년 6월 17일.
· 박은하, 2003, “비혼모와 비혼모정책에 관한 여성주의적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해정 외, 2010, “경기도 미혼모부자가족 실태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 송다영ㆍ김미주ㆍ최희경ㆍ장수정, 2012, 『새로 쓰는 여성복지론』 파주: 양서원.
· 이데일리뉴스, 2011, “저출산 해소하려면 동거·미혼모 인식 바꿔야”, 2011년 11월 16일.
· 이미정, 2008, “미혼모를 둘러싼 현황과 쟁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이미정, 2010, “사회적 편견과 미혼모 관련 통계”, 『제60차 여성정책포럼 미혼모의 현실과 자립지원 방안 자료집』,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이미정, 2012, “미혼모 자녀양육 및 자립지원을 위한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이미정ㆍ김혜영ㆍ김승연ㆍ류연규, 2009, “한국의 미혼모 복지에 관한 연구: 해외입양, 관련통계, 선진국의 복지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이부연, 2010, “미혼모 복지정책 개선방아에 관한 연구”, 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윤로ㆍ이미선, 2007, 『입양의 생애 주기』, 서울: 신정.
· 이성형, 1989, “미혼모 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시백·서정애·박인화·이재진, 2002, 『미혼모 복지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한국성문화연구소 연구보고서.
· 임지선, 2009, “똑똑한 한국아이 2169만원이오”, 『한겨레 21』5월호.
· 여성가족부, 2012, “2012년 한부모가족지원 사업안내”.
· 여성가족부, 2011b, "청소년한부모 생활실태조사 및 자립지원방안 연구”.
· 여성가족부, 2005b, “미혼모부자 종합대책에 관한 연구”.
· 이춘기ㆍ성명옥, 1991, “미혼모 복지대책의 발전적 방향설정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논총』, 10(1), 83~110.
· 정옥희, 2013, “여성복지론”, 서울: 동문사.
· 정향미, 2005, “미혼모 복지제도 개선방안 연구”, 단국대 행정법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주은, 2012, “양육미혼모 관련 정책현황과 개선방안”, 『젠더법학』, 4(1), 207-235
· 차선자, 2009, “미혼모 자립지원의 주요 쟁점과 해법 Ⅰ: 미혼모에 대한 법적 문제와 해결방안”. 『제3차 가족ㆍ보육정책 포럼』,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최선화ㆍ오영란, 2012, 『여성복지론』, 경기: 공동체.
· 최승희, 2010, “자녀를 입양 보낸 미혼모의 상실”. 『제60차 여성정책포럼 미혼모의 현실과 자립지원 방안 자료집』,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최현경, 2002, “미혼모 복지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하정하ㆍ허두진, 2012, “부산시 청소년 미혼모 실태와 대책 연구”, 부산여성가족개발원.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9, 『미혼모와 그들 자녀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서울: 한학문화.
· , 2011, 『미혼부의 책임강화 방안』, 서울: 한학문화.
· 한국일보, 2012, 2012년 8월 27일.
· 한나진, 2011, “청소년 양육미혼모 사회복지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울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허남순ㆍ노충래, 2005, “미혼모부자 종합대책에 관한 연구”, 여성가족부.
· 현외성, 2013, “한국사회복지법제론”, 파주: 양서원.
· 홍순혜, 2012, “청소년 미혼모와 이들의 학습권”,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홍순혜ㆍ김해래ㆍ이혜원ㆍ변귀연ㆍ정재훈ㆍ이상희, 2007, “청소년 미혼모의 교육권보장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 Donnelly, B. & Voydanoff, P., 1996, “Factors associated with releasing for adoption among adolescent mothers”, Family Relations, 40: 404-410.
· Wilkinson, H. P., 2007, Birth is more then once: The inner world of adopted Korean children, MI: Sunrise Ven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