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정법률상담소, 2006, “서울시 기혼남녀 퇴근 후 시간 활용실태조사”.
· 강이수, 2009, 『일·가족·젠더 : 한국의 산업화와 일-가족 딜레마』, 파주: 한울.
· 고정자, 2008, 『변화하는 결혼과 가족』, 서울: 형설출판사.
· 금재호, 2012, 『일자리문제의 원인과 대책』, 한국노동연구원.
· 김경희, 2006, “여성정책 관점의 재구성을 위한 시론적 연구: 여성발전론과 성주류화 개념의 이해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1(2), 255-287
· 김경희, 김민희, 2010, “입법과정에 나타난 일-가족 양립 문제의 프레임(frame)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역사학회 담론201』, 13(4), 71-101.
· 김영미, 2010, “일가족양립정책 개혁을 통해 본 한국의 복지체제와 젠더”,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09(2), 49-77.
· 김유나, 2012, “여중생의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결혼관 및 자녀관”, 이화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주현, 2013, “결혼관 혼란을 가중시키는 초식남과 육식녀”, 『현대경제연구원』, 통권 537호.
· 김주희, 2009, “육아정책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혜정, 2011, “일 가정 양립 정책에 대한 젠더 비평적 분석 : 모성보호제도와 보육정책을 중심으로”, 『여성학연구』, 21(2), 113-152.
· 마경희, 2011, “보편주의 복지국가와 돌봄”, 『한국여성연구소 페미니즘 연구』, 11(2), 85-116.
· 박선영, 2011, “비정규직 여성노동자의 모성권 보호방안”, 한국여성노동자회 일-생활균형 이제는 권리다 토론회 자료집, 25-50.
· 박주희, 2007, 『현대가족의 이해와 가족복지의 실천』, 서울: 구상.
· 법제처, 2012, “가족친화 사회환경의 조성 촉진에 관한 법률”, http://www.law.go.kr.
· 법제처, 2014, “남녀고용평등과 일ㆍ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http://www.law.g o.kr.
· 서울시, 2012, “통계로 본 서울여성 경제활동”, 2012년 11월 15일
· 손동진, 2012, “맞벌이부부의 가사노동분담에 대한 연구”,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송현주, 2008, 『양성평등의 이해-2008년 양성평등과정』, 서울시인재개발원.
· 신경아, 2010, “저출산 대책의 쟁점과 딜레마, 한국여성연구소”, 『페미니즘 연구』, 10(1): 89-122.
· 신동호, 2010, “종업원의 가족친화제도 유용성 지각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양옥경, 2005, 『가족과 사회복지』,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여성가족부, 2006, “기업 경영의 지름길:가족친화 경영”.
· 여성가족부, 2013, “제2차 여성인력개발종합계획 2013년도 시행계획”.
· 여성가족부, 2014, “새로운 새일센터, 서비스 사각지대 여성 챙겨야”, 2014년 1월 27일
· 이영숙·박정란·전귀연, 2008, 『가족문제와 복지』, 서울: 신정.
· 이유덕, 2011, “가족친화경영이 조직성과와 가정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18(2): 71-83.
· 장영남, 2012, “출산장려정책이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조흥식·김인숙·김혜란·김혜련·신은주, 2010, 『가족복지학』, 서울: 학지사.
· 최덕경, 박주현, 2012, 『가족정책론』, 파주: 양서원.
· 통계청, 2012, “사회통계조사”, www.kostat.go.kr.
· 통계청, 2013, “경제활동인구조사”, www.kostat.go.kr.
· 한지영, 2010, “일가정양립제도의 성주류화 실현을 위한 노동관계 법의 입법과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