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중돈, 김동기, 김기수, 박수진(2012), 노인의 가족응집력, 스트레스, 우울 및 문제음주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3권, 제3호, pp.3-25.
· 건강보험심사평가원(2014), 질병ㆍ행위 통계, 2014.
· 김나리(2013), 청소년의 외모만족도와 우울의 관계비교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명숙(2008), 사회적 지지가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미령(2012), 노인의 스트레스와 성인자녀의 지지가 행복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32권, pp.1-27.
· 김미선(2014), 노인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예성(2014), 노인의 독거여부에 따른 건강증진행위와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34(3), 400-429.
· 김영주(2007), 농촌노인의 우울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은주(2015), 사회복지시설 거주 남성노인의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및 사회적 지지와 우울감과의 상관관계,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정옥(2014), 청소년의 외모만족도와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정유, 최유석(2015). 사회적 지지가 중소도시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4), 208-219.
· 남기민, 정은경(2011). 여성독거 노인들이 인지한 사회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52, 325-348.
· 도용호(2010). 노인의 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박여진(2014), 중년 여성의 사회적 지지, 우울과 문제음주 간의 관련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영례, 장은희(2013),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25(5), 549-558.
· 보건복지부(2015). 2014년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 박여진(2014), 중년 여성의 사회적 지지, 우울과 문제음주 간의 관련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배은진(2015), 초등학교 고학년의 외모만족도와 우울의 관계 : 지각된 사회적지지 매개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인균, 이연실(2014), 사회적 지지와 지역사회환경이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 비교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제28권, 제2호, pp.371-399.
· 엄인숙(2012), 노인의 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복지행정논총 22(1), 73-90.
· 오영은(2011), 성인자녀관계망이 농촌노인의 심리적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유용식(2014). 우울 및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0), 189-197.
· 위종희, 조규판(2014),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구조관계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4권 제8호, pp.237-264.
· 이민숙, 김나영(2007),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에 관한 연구, 임상사회사업연구, 제4권, 제1호, pp.161-176.
· 이신영, 김은정(2012), 독거노인의 친구ㆍ이웃과의 사회적 지원과 우울성향, 노인복지연구, 제56호, pp.137-164.
· 이은령, 강지혁, 정재필(2013), 노인 우울에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7), 290-300.
· 이은주(2013),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과 사회적 지지, 우울감 및 죽음불안의 구조적 관계,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혜경, 이병록(2011). 노인복지관 이용노인의 가족 및 사회적 지지와 일상생활기능정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 38, 201-225.
· 이희연, 전혜성(2011). 중년기여성의 삶의 기대, 마음챙김,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7), 275-284.
· 전서희(2015), 중년 남녀의 사회적 지지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우울의 관련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성자, 김병석(2014), 노년기의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간의 관계: 우울, 자기효능감, 마인풀니스(mindfulness)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제34권, 제1호, pp.49-71.
· 채지연(2014),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외모만족도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형임, 채현탁, 송인욱(2009),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가 노인의 스트레스적 생활경험과 절망감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43, pp.183-202.
· 홍영수(2010), 부모학대가 아동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의 정서적지지 효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30, 225-244.
· 허제은, 태영숙(2014). 중년여성의 영적안녕,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26(2), 181-190.
· American College Health Association(2012), National College Health Assessment II: Reference Group Executive Summary, Hanover, MD: American College Health Association.
· Huang, Y. , & Carpenter, I. (2011). Identifying elderly depression using the Depression Rating Scale as part of comprehensive standardised care assessmentin nursing homes. Aging& Mental Health, 15(8), 1045-1051.
· I. G. Sarason and B. R. Sarason(2009), "Social Support: Mapping the Construct,"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Vol.26, No.1, pp.113-120.
· Meiner, Sue. (2011). Geron to logical Nursing(4th edition). Elsevier.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8 Guide line of the businesson health and welfare for elderl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vailable From: http://www.mw.go.kr(accessed Feb, 1, 2014).
· U. Orth, R. W. Robins, K. F. Widaman, and R. D. Conger(2014), Is Low Self-Esteem a Risk Factor for Depression? Findings from a Longitudinal Study of Mexican-Origin Youth, Developmental Psychology, Vol.50, No.2, pp.622-633.
· Yu, J. , Li, J. , Cuijpers, P. , Wu, S. , & Wu, Z. (2012).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depressive symptoms in Chinese older adults: a population-based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c, 27(3), 305-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