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충한 (1993), 조택원을 통한 한국 신무용 흐름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 박은정 (1993). 조택원 예술경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유미희 (1997), 여권주의 입장에서 본 최승희 무용예술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배경옥 (1999),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본 최승희 춤의 의미분석,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이주영 (2004).조택원의 작품 『만종』연구 석사 학위 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성앵란 (2006), 최승희 춤의 시대적 및 사상적 특징,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박총명 (2009), 일제시대의 문화정책에 따른 조선후기 무용 성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윤혜미 (2009), 최승희 무용활동에 관한 역사적 연구 ,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나상은 (2010), 신무용의 예술적 특성과 역사적 위상,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박난영 (2011), 최승희와 이시이바쿠의 작품에 나타난 안무체계 비교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이영란 (2011), 최승희 무용의 사상적 근원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김부호 (2013), 일제강점기 사회적 배경에 의한 무용예술의 변화 및 성향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운미 (1995). 한국 근대무용사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지, 5, 113-122.
· 김영희 (1999). 일제시대 기생조합의 춤에 대한 연구, 한국무용예술학회지, 3, 51-78.
· 김말애 (1998). 조택원의 생애와 예술세계, 대한무용학회, 67-75(9).
· 강창순 (2001), 한국전쟁기(1950~1953) 사회과교육의 전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58-81(23).
· 차범석 (2004), 증언으로 듣는 한국 근 현대무용사: 한국의 근 현대 무용사는 새로 쓰여져야 한다, 한국무용예술학회,313-330(18)
· 서지영 (2005). 식민지 시대 기생 연구 (ll) - ‘기생조합’의 성격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확회지, 10, 433-464.
· 안병주, 김민이 (2005), 1930년대 전반의 최승희의 작품세계와 예술관, 한국체육철학회, 369-381(13).
· 오승지 (2005). 조택원 예술 활동을 통한 가치 재인식, 대한무용학회, 93-105(13).
· 배성한 (2006). 조택원<가사호접(袈娑胡蝶)>의 무도기록을 통해 나타난 작품 특징 연구, 한국무용기록학회, 25-47(23).
· 최성옥 (2010), 해외공연이 최승희의 예술세계에 미친 영향, 한국무용기록학회, 107-133(27)
· 박난영, 전은자 (2012), 이시이바쿠의 작품에 나타난 안무체계 연구 -<수인>,<실념>,<하얀손장갑>을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논문집 제70권 2호
· 김보미 (2013), 1950-1960년대 대학 무용과의 성립과정, 한국춤문화자료원, 18-24(7).
· 이주희 (2013), 일본의 근대무용가 이시이바쿠(石井漠)의 조선에서의 무용활동 고찰, 무용예술학연구 제43집 3호.
· 성기숙 (2014), 김민자의 삶과 예술세계. 한국무용연구, 32( 2), 173-202.
· 이종숙 (2017), ‘무용’, ‘신무용’ 용어의 수용과 정착, 무용역사기록학회지, 46, 9-35.
· 안제승 (1984), 한국신무용사
· 정병호 (1995, 2004), 춤추는 최승희
· 양정수 (1999), 한국현대무용사
· 최승희, 강병철, (2006), 1911-1969 세기의 춤꾼 최승희 자서전 불꽃
· 이영란 (2009), 역사의 흐름을 통한 한국무용사, 서울:블루피쉬
· 김호연 (2016), 한국 근대 무용사. 민속원
· 역사학연구소 (2016), 함께보는 한국근현대사
· 이종숙 (2018), 인물로 본 신무용 예술사, 민속원
· 이정노 (2019), 근대 조선춤의 지속과 변용, 서울;소명
· [일제강점기] 일본의 조선 식민 통치 방법 변화 - 무단통치|작성자 koreahepa
· [네이버 지식백과] 3·1운동 [三一運動] (두산백과)
· [네이버 지식백과] 일제 말기의 민족 말살 정책 (통합논술 개념어 사전, 2007. 12. 15., 한림학사)
· [네이버 지식백과] 8·15광복 [八一五光復]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