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이론/예상결과/고찰) 아주대 논리회로실험 결과보고서4
- 최초 등록일
- 2021.10.24
- 최종 저작일
- 2014.09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A+/이론/예상결과/고찰) 아주대 논리회로실험 결과보고서4"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과정 및 결과
3. 고찰
본문내용
Analysis
출력단자 1개만 Low가 나옴을 알 수 있고 그 단자가 2개의 선택 단자에 의해 4개의 출력 단자 중 1개의
단자에 연결되어 출력되었음을 알 수 있다.
회로는 1x4 active low의 디멀티플렉서의 기능을 잘 수행한다고 볼 수 있고 실험은 매우 성공적이다.
디멀티플렉서는 단일의 입력선을 여러개의 출력선으로 전송하는 조합회로이고 이러한 동작을 실험을 통 하여 살펴볼 수 있었다.
디멀티플렉서에서 Enable 단자와 셀렉터 단자가 출력을 결정하는 아주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알았다.
Enable이 5V가 주어지면 회로가 정상작동을 하지 않았고 Enable이 0V라는 전제하에 각각의 셀렉터에 의 해 출력값이 정해졌다.
회로의 물리적 특성상 지연시간은 피할 수 없는 현상이었다. 반도체 소자를 더 정밀히 만들거나, 거치는 게이트의 수를 줄이는 것이 지연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겠다.
⇒ 이 실험은 1x4 디멀티플렉서에 대해 알아보는 실험이었다. 실험은 앞서 실험한 멀티플렉서와 반대의 기능을 한다. 멀티플렉서와 반대로 입력이 1개 출력이 4개이다. 이 실험도 X표는 OPEN을 뜻한다. 위의 표와 같이 D에 Low가 인가되면 입력 신호가 없는 것이므로 출력에는 모두 Low가 출력된다. D에 High가 인가되었다는 전제하에 [S1,S0]가 [L,L] 이면 Y0이 Select 되어 D가 Y0에 출력되게 된다. [S1,S0]가 [L,H] 이면 Y1이 Select 되어 D가 Y1에 출력된다. 마찬가지로 [S1,S0]가 [H,L], [H,H] 이면 각각 Y2와 Y3가 Select 되어 D가 출력단으로 출력된다. 멀티플렉서와 같이 우리는 S값을 이진수로 해석할 수 있다. (S1,S0) = (1.0)이면 10(2)을 뜻하고 십진수로는 2를 뜻하게 되어 Y2에 출력되게 하며 (S1,S0) = (1,1)이면 11(2)를 뜻하고 십진수로는 3을 뜻하게 되어 Y3에 출력된다. 실험1과 마찬가지로 1×8 먹스를 만들었다면 S가 3개(S2, S1, S0) Y가 8개(Y7~Y0)가 필요할 것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