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초등학생의 과학적 탐구역량 및 과학적 의사소통 역량증진을 위한 플립러닝 프로그램 개발

"초등학생의 과학적 탐구역량 및 과학적 의사소통 역량증진을 위한 플립러닝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내용입니다.
8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1.09.23 최종저작일 2021.04
8P 미리보기
초등학생의 과학적 탐구역량 및 과학적 의사소통 역량증진을 위한 플립러닝 프로그램 개발
  • 미리보기

    소개

    "초등학생의 과학적 탐구역량 및 과학적 의사소통 역량증진을 위한 플립러닝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연구 목적
    1) 배경
    2) 문제상황
    3) 접근방법

    2. 요구분석
    1) 요구분석 대상
    2) 인터뷰 질문
    3) 인터뷰 결과

    3. 이론적 배경
    1) 플립러닝
    2) 온라인 탐구공동체(CoI)

    4. 연구방법
    1) 개발 방법
    2) 대상과 맥락
    3) 일정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 목적
    (1) 배경
    초연결, 융복합, 협력을 키워드로 하고 있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개인이 이러한 사회에서 성공적인 삶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다양한 역량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적 태도를 함양하여 창의적이고 합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 것을 과학과 교육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과학적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은 과학적 문제해결절차인 탐구과정을 통해 향상시킬 수 있는데(강순희, 2008), 현 교육과정에서 과학 탐구 과정으로 안내되는 대표적인 탐구 활동은 문제 도출, 가설설정, 실험설계, 자료 수집과 변환, 결론도출, 평가 등의 탐구과정 요소가 잘 다루어질 수 있는 가설 검증형 실험이라고 볼 수 있다(김유향, 김영수, 2015).
    과학 교과에서 이러한 실험 수업은 오랜 세월 동안 다른 교과와 과학 교과를 구분 짓는 주요한 특성이자 과학 지식을 전달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다(Hodson, 1993; Hofstein & Lunetta, 2004; Tobin, 1990). 실험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적 탐구역량을 함양하게 되고, 실험과정에서 다른 학생들과 협업하고 의견을 조율하면서 과학적 의사소통 역량 또한 함양된다

    참고자료

    · 강순희. (2008). 가설 제안 활동을 통한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 신장에 기여하는 모델 개발 및 과학 교수에서 그 활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5), 482-494.
    · 교육부 (2015).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 김유향, & 김영수. (2015). 중학생의 과학 탐구 사고력 증진을 위한 가설 검증형 실험 전 토의 활동 자료의 개발. 생물교육, 43(3), 205-217.
    · 신영준, 하지훈, 홍준의, 전영석, 이수영, 박지선, 지재화, 이수아, 문혜숙, 이성희 (2016). 거꾸로 수업을 지원할 수 있는 과학교과서 모형 개발 연구. 과학교육 연구지, 40(1), 90-122.
    · 심재호 (2006). 과학교사 전문성과 실험 연수에 대한 중등 과학 교사의 인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1), 27-37.
    · 윤혜경. (2008). 과학 실험 실습 교육에서 초등 교사가 느끼는 딜레마. 초등과학교육, 27(2),
    · 102-116.
    · 이민경 (2014). 거꾸로 교실의 효과와 의미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 41(1), 87-116.
    · 이수아, 전영석, 홍준의, 신영준, 최정훈, 이인. (2007). 초등 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초등과학교육, 26(1), 97-107.
    · 이진숙, 김은주, 김대현 (2017). 2015 개정 과학과 공통 교육과정에서의 핵심역량-교과역량, 교과역량-성취기준의 관계 분석. 통합교육과정연구, 11(2), 1-25.
    · 이혜정. 이성혜 (2007). 대학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블렌디드 이러닝 활성화 방안 : 교수들의
    · 인식 및 요구 조사 분석으로부터.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3(4), 77-102.
    · 임재웅, 김영대, 위수민 (2020). 플립러닝을 적용한 과학 수업의 효과와 문제점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5), 1399-1420.
    · 임철일, 연은경(2006). 기업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사용자 중심의 래피드 프로토타입 방법론에 관한 연구. 기업교육연구, 8(2), 27-50.
    · 정진아, 배진호, 소금현 (2015). 거꾸로 교실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 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물교육학회, 43(4), 333-343.
    · 조현준. 한인경. 김효남. 양일호. (2008). 초등학교 과학탐구 수업 실해으이 저해 요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910-921.
    · Bergmann, J & Sams, A. (2012). Flipped your classroom: Reach every student in every class every day. Washington, DC: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 Garrison, D. R., & Arbaugh, J. B. (2007). Researching the community of inquiry framework: Review, issues, and future directions.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10(3), 157-172.
    · Hodson, D. (1993). Re-thinking Old Ways: Towards A More Critical Approach To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22(1), 85-142.
    · Hofstein, A. & Lunetta, V.N. (2004). The laboratory in science education: Foundation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Science Education, 88(1), 28-54.
    · Jones, T. S., & Richey, R. C. (2000). Rapid prototyping methodology in action: A developmental study.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8(2), 63-80
    · Levitt, K. E. (2001). An analysis of elementary teachers& beliefs regard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science. Science Education, 86(1), 1-22.
    · Tobin K.G., (1990), Research on science laboratory activities; in pursuit of better questions and answers to improve learning,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0, 403-418.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하는 자료는 질이 매우 높고,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인상적입니다. 이해하기 쉬운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활용하기 편했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