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도서
· 민경국, 『하이에크, 자유의 길 : 하이에크의 자유주의 사상 연구』, 한울, 2007.
· 에스핑앤더슨,『복지 자본주의의 세 가지 세계』박시종(역),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7.
· 토마 피케티,『21세기 자본,』장경덕(역), 글항아리, 2013.
· 국내논문
· 김미란 · 이경훈, “노인의 AGING IN PLACE 증진을 위한 종합지원센터 도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34(5), 2018.
· 김 철, “한국에 있어서의 자유주의와 자유지상주의에 대한 반성,” 사회이론, 2006.
· 노기현, “노인복지행정에 있어 “지역포괄케어시스템”의 구축에 관한 검토,”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연구, 54(4), 2013.
· 맹주만, “롤스와 센델, 공동선과 정의감, 철학탐구, 제32집, 2012.
· 박준석, “조셉 라즈(Joseph Raz)의 권위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법철학연구, 2007.
· 오영인, “한국형 지역사회 통합돌봄의 올바른 추진 방향을 위한 비판적 시각,” 의료정책포럼, 17(1), 2019.
· 이석규, “마드리드 고령화 국제행동 계획,” 노인복지연구, 17, 2002.
· 장윤배 · 강성익, “공유도시 이론과 실현방안,” 경기연구원 기본연구, 2016.
· 홍일선, “고령사회를 대비한 헌법적 논의: 국가의 노인보호의무와 노인의 사회적 기본권을 중심으로,” 공법학연구, 9(2), 2008.
· 황정훈, “분배의 정의 실현수단으로써 공공부조수급권에 관한 연구,” 호서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8.
· , “고령사회에서 노인의 자기개발권 실현에 관한 연구,” 법이론실무연구, 제7권 제1호, 2019.
· , “하이에크의 이론에 입각한 상대적 빈곤해소에 관한 법적 연구,” 법학연구 제19권 제1호, 2019.
·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돌봄관리의 권리에 관한 법적 고찰,” 법이론실무연구, 제7권 제2호, 2019.
· 片桐 由喜, “생활보호제도와 사적부양제도의 합리적 조정,” 사회보장법학, 제2권 제2호, 2013.
· 외국문헌
· 田畑茂二郞,『國際法講義(上),』有斐閣, 1984.
· 広井良典,『日本の社会保障,』 岩波新書, 1999.
· ,『ポスト資本主義 ― 科学・人間・社会の未来,』岩波書店, 2015.
· 塩野谷祐一,『経済と倫理―福祉国家の哲学,』東京大学出版会, 2002.
· 西村健一郎,『社会保障法,』有斐閣, 2008.
· 沼尾波子,『地域包括ケアシステム構築と行政の役割,』産業経営プロジェクト報告書35巻2号, 2012.
· 畑本裕介,『社会福祉行政のこれから-<社会保険>化と行政空間の変容,』人間福祉学部紀 要(山梨県立大学)7号, 2012.
· 寺本 惠, “後見制度支援信託の槪要,” 登記情報, 第604號, 民事法情報センタ-, 2012.
· G・エスピン・アンデルセン, 渡辺雅男・渡辺景子訳,『ポスと工業経済の社会的基礎―市場・ 福祉国家・家族の政治経済学』桜井書店,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