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오공대 민속문화의 이해 리포트 - 간장
- 최초 등록일
- 2021.07.02
- 최종 저작일
- 2021.04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민속문화의 이해 리포트 - 간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간장의 유래
2. 간장의 제조방법
3. 간장의 종류
Ⅲ. 결론
1. 간장에 대한 나의 생각
2. 참고자료
본문내용
▷ 서론
: 이번 리포트 주제인 발효 식품/조미료 중 어떤 것을 주제로 삼을지 고민하던 중 자취를 시작하며 집에서 요리하게 된 경험을 떠올리게 되었습니다. 볶음밥, 국, 찌개, 닭볶음탕 등 유튜브를 보며 다양한 요리를 따라 할 때마다 요리에 간을 하기 위해 늘 간장을 넣어야 했는데, 조리법이나 요리에 따라 조선간장, 양조간장, 진간장, 국 간장 등 종류별로 다양하게 구분하여 넣는 것을 보고 의아스러웠습니다. 이런 궁금증도 함께 해결해보고자 ‘간장’을 주제로 삼아 이번 리포트를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 본론
1. 간장의 유래
우리나라에서는 언제부터 장류가 이용되었는지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 삼국사기에 ‘장’에 관한 기록이 있어 통일 신라 시대부터 간장과 된장이 만들어지고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내용을 더 살펴보면, 삼국사기 신문왕 3년 기록에 따르면 왕비를 맞을 때 폐백품목으로 보낸 식품 중에 장이 포함되었습니다. (김흠운의 딸을 왕비로 간택하여 혼인할 때 납채 품목으로 쌀, 술, 기름, 꿀, 포, 혜와 함께 장과 시를 수레 135대에 실어 보냈다.)
또한, 삼국지 위지 고구려조에는 “고구려 사람은 선장양한다.”고 하였습니다.
참고 자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간장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간장
샘표 간장 - 간장의 종류와 간장 활용법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고려시대 및 조선시대 장류 (안용근, 우나리야)
최지미, 이춘복, 김학선. (2016). 간장의 제조방법에 따른 품질 특성 비교 연구. 한국조리학회지, 22(2), 57-65.
권주현. (2014). 신라의 발효식품에 대하여. 목간과문자, 12(), 43-57.
푸드투데이 - [알쏭달쏭 식품Talk] 헷갈리는 간장 종류..."장조림 만들 때 어떤 간장 쓰나요?“
조선닷컴 - 진간장, 양조간장, 국간장… 헷갈리는 간장 종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