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토질 관련 사고사례 및 자연재해 사례와 방지기술

"토질 관련 사고사례 및 자연재해 사례와 방지기술"에 대한 내용입니다.
24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1.06.15 최종저작일 2018.04
24P 미리보기
토질 관련 사고사례 및 자연재해 사례와 방지기술
  • 미리보기

    소개

    "토질 관련 사고사례 및 자연재해 사례와 방지기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반침하
    1) 지반침하의 발생원인 분석
    2) 국내의 지반침하 피해사례
    3) 지반 침하의 해결 및 예방 방안

    2. 우면산 산사태
    1) 우면산의 특징
    2) 우면산 산사태의 사고 원인
    3) 산사태 사고방지 기술

    3. 우리나라의 지하 공간 활용 사례
    1) 지하공간의 활용 사례
    2) 미래 지하공간의 활용 방안

    4. 기후 변화의 영향에 의한 피해 사례
    1) 건강 분야의 피해 사례
    2) 재난/재해 분야의 피해 사례
    3) 기후 변화 대응/적응 활동

    5. 국내 물 문제 사례
    1) 국내 물 문제 사례
    2) 대응/해결 방안

    본문내용

    지반침하란 일반적으로 지반이 각종 요인에 의해 침하하는 현상의 총칭으로 자연 현상으로서는 지각 변동 · 해면 상승 등이나 재해에 의한 지변을 들 수 있다. 인위적 요인으로서는 지하수의 과도한 양수나 매립 하중에 의한 침하, 굴착에 따른 침하가 있다. 구조 설계상은 즉시 침하 · 압밀 침하로 나누어서 생각되는 경우가 많고, 고른 침하와 부동 침하에 대해 검토된다(네이버 지식백과 건축용어사전, 2011.1.5.). 처음 지반침하에 대한 뉴스를 본 것은 불과 몇 년 전이었다. 처음에는 단순한 해프닝으로 여겨졌고 이후 지반 침하 사례가 급증하더니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기 시작했다. 특히, 지반침하는 개발 중인 지역 혹은 인구량이 많은 대도시에서 주로 발생하였는데 이것은 공사의 여파로 인한 피해거나 낡은 하수도관에 의한 피해로 여겨지고 있다. 지반침하가 사회적으로 널리 퍼진 문제인 만큼 수많은 사례가 있으나 지반침하의 사고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고 규모에 대한 정의도 없어 정확한 자료조사에는 한계가 있다고 한다. 지반침하의 발생원인과 국내사고의 사례를 확인해 보고 문제점을 확인하고 마지막에는 지반침하에 대한 예방 및 대책방안을 확인해 보려고 한다.

    지반침하에 대한 피해사례에 대해 알아보기에 앞서 관련된 용어를 간단히 정리해 보았다.

    ● 지반함몰 : 지표면이 여러 요인에 의하여 일시에 붕괴되어 국부적으로 수직방향으로 꺼져 내려앉는 현상의 학술 용어이다.

    ● 땅꺼짐 : 지반함몰의 순화된 용어로 대국민 및 대언론 홍보용 용어로 주로 사용된다.

    ● 공동 : 지질학적으로 지층 내에 생긴 빈 공간으로 다양한 형태와 분포가 불특정으로 나타나는 양상이다.

    ● 포트홀 : 도로포장체에 우수유입으로 인하여 도로 포장이 벗겨져 작은 구멍이 생기는 현상이다.

    ● 지반침하 : 자연적 혹은 인위적인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지반이 넓은 면적이나 일정구간에서 자연적인 연약지반 또는 충분히 다짐되지 않고 인위적으로 형성된 지반이 오랜 시간 동안 서서히 가라앉는 현상이다.

    참고자료

    · [네이버 지식백과] 지반 침하 [subsidence of ground, 地盤沈下] (건축용어사전, 2011. 1. 5., 성안당)
    · 지반침하 관련 뉴스
    · http://www.ichannela.com/news/main/news_detailPage.do?publishId=000000115690
    · 가산동 지반침하 사례
    · http://www.hankookilbo.com/News/Read/201809301789759455?did=na
    · 울산 지반침하 사례
    · http://www.jb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220998
    · ‘도로함몰! 노후 하수관 방치할 건가’
    · http://www.ecofuturenetwork.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998
    · 국토교통부 : 지반침하(함몰) 안전관리 매뉴얼
    · http://www.google.co.kr/url?sa=t&rct=j&q=&esrc=s&source=web&cd=1&ved=2ahUKEwjb5bWe69veAhUIgrwKHenUBB0QFjAAegQICRAC&url=http%3A%2F%2F04plan.tistory.com%2Fattachment%2Fcfile9.uf%4099D5023359C5047B23EAE4.pdf&usg=AOvVaw088wosx7WacrZV_J9bjyhP
    · 지피콘 공법
    ·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angsh0&logNo=40044458754&proxyReferer=http%3A%2F%2Fwww.google.co.kr%2Furl%3Fsa%3Dt%26rct%3Dj%26q%3D%26esrc%3Ds%26source%3Dweb%26cd%3D3%26ved%3D2ahUKEwi7q6vVjNzeAhWJEbwKHfyeAQQQFjACegQICBAB%26url%3Dhttp%253A%252F%252Fm.blog.naver.com%252Fjangsh0%252F40044458754%26usg%3DAOvVaw3deSEWcCguVYOdsnmmbx0x
    · 한국지반공학회 : 우면산 산사태
    · https://www.slideshare.net/kysnyou/20111125-15781743
    · 서울특별시 : 우면산 산사태 원인 추가, 보완 조사 요약보고서
    · 토양 유실 실험
    ·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4898243&memberNo=7441963&vType=VERTICAL
    · 우면산 관련 기사
    · http://www.consumertimes.kr/14727
    · 산사태 방지 공법
    · http://www.ceg4u.com/blog/zbxe/?document_srl=13116&mid=root_board&sort_index=readed_count&order_type=asc
    · 지하 공간 개념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483915&cid=58439&categoryId=58439
    · 지하공간 활용 사례1
    · http://www.redian.org/archive/122079
    · 보령해저터널
    · https://blog.naver.com/boryeongsi/221301339420
    · 지하공간 활용 사례2
    · http://www.google.co.kr/url?sa=t&rct=j&q=&esrc=s&source=web&cd=6&ved=2ahUKEwilk9iqnt3eAhXDdN4KHVxUCFIQFjAFegQIBhAC&url=http%3A%2F%2Fwww.ssyenc.com%2Ffile%2Fkor%2Ftech%2Fhtml%2F2013wi%2Fti1.pdf&usg=AOvVaw1hbIBjKdxuNeSddp6jqbav
    · 국가 기후변화 적응 센터
    · http://ccas.kei.re.kr/
    · 시카고 폭염 사례
    · http://news.donga.com/3/all/20180810/91457937/1
    · 중국과 런던의 대기오염 피해사례
    · https://news.joins.com/article/22011186
    · 런던의 기후 적응 정책
    · https://www.si.re.kr/node/45681
    · 제주도 가뭄
    · http://news1.kr/photos/view/?3252274
    · 태안 기름유출 사고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90384&cid=42251&categoryId=58354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