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성원, 류재수, 김연종, 독일의 탈원전 정책결정과 영향,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2017.11, 1543-1557
· 박성하, 일본과 독일의 탈원전 정책 비교, 한국일본근대학회, 2018, vol., no59, 371-392
· 구유진, 윤혜선, 박현정, 일본의 탈원전 정책 전개 과정 및 법제화에 관한 연구, 경제규제와 법 제 12권 제 1호, 2019.05, 123-148
· 민대기, 류종현, 최동구, 탈원전탈석탄신재생 에너지 확대 정책에 따른 신규 전원구성의 수급 안정성 평가, 에너지경제연구 17(1), 2018.3, 1-35
· 조경엽, 탈원전 정책의 경제적 영향, KERI Brief 19-14, 2020.01.07
· 이종열, 김인영, 최희주, 조동건, 국내 원자력발전소에서의 사용후핵연료 발생 특성을 고려한 심층 처분시스템 개선, 한국원자력연구원, 2019.04, 405-418
· 이창훈 외, 화석연료 대체에너지원의 환경 경제성 평가1, 기후환경정책연구 2013-06, 2013.12
· UNSCEAR, DEVELOPMENTS SINCE THE 2013 UNSCEAR REPORT ON THE LEVELS AND EFFECTS OF RADIATION EXPOSURE DUE TO THE NUVLEAR ACCIDENT FOLLOWING THE FREAT EAST-JAPN EARTHQUAKE AND TSUNAMI, A 2017 WHITE PAPER TO GUIDE THE SCIENTIFIC COMMITTEE’S FUTURE PROGRAMME OF WORK, UN2017
· 김화년, 세계 석탄규제 현황과 영향 전망,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ENERGY FOCUS 2017 가을호, 29-45
· 국립기상과학원, 2019 지구대기감시 보고서, 2020.06
· 허가형, 주요국의 온실가스배출량과 GDP의 탈동조화 경향과 시사점, 국회예산정책저, 2020.09.29 제 24호
· 안대훈, 권석기, 주행로, 최은재, 전력계통 안정을 위한 공급예비력 적정수준에 대한 연구, 조명선기설비학회논문지 22(9), 2008.9, 55-61
· 윤보람 기자, 9차 전력계획 정부안 나왔다…탈석탄·탈원전 '쐐기', 연합뉴스, 2020.12.15,
· 이순흥 기자, 코로나로 관심 커진 원전…"위기때 확실한 전력공급원", 조선일보, 2020.12.17,
· 조승한 기자, 한·미 4세대 원전 '고온가스로' 개발 속도 낸다, 동아사이언스, 2020.08.03,
· 하남현 기자, 전기요금 인상, 전력 수급불안 우려에도 탈원전 마이웨이, 중앙일보, 2020.12.15,
· 김성환 기자, [단독] 사용후핵연료 관리비 64조원, 탈핵하면 -19조원, 한겨례, 2017.07.26
· 고은지 기자, '탈원전' 독일·일본 가정용 전기요금 평균 20% 올라, 연합뉴스, 2017.06.22,
· 김상윤 기자, [팩트체크]독일 탈원전으로 전기료 폭등?…18년간 2배↑, 이데일리, 2018.12.27,
· 김철훈 기자 “완전한 원전기술 갖고 '탈원전' 선언 국가는 한국뿐”, 글로벌이코노믹, 2020.11.04,
· 설성인 기자 '탈원전' 대만, '블랙아웃' 겪어…한국 '전력예비율 7%' 괜찮을까?, 조선비즈,
· 블랙아웃 사태 또 생기면 피해액만 11조6400억원, 노컷뉴스, 2012.06.20
· 김천곤, 서비스산업 육성 및 발전과제, 고려대학교 미래성장연구소, 2018.8
· 박의래 기자, “선진국 제조업 비중 줄어들 때 한국은 늘었다”, 연합뉴스, 2016.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