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실내환경 보고서 (아파트)
- 최초 등록일
- 2021.05.07
- 최종 저작일
- 2020.08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주거실내환경 보고서 (아파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1.1. 조사 배경 및 목적
1.2. 조사 대상 선정 및 개요
1.3. 조사 범위 및 방법
Ⅱ. 이론적 고찰
2.1. 열환경 요인 및 계획
2.2. 공기환경 요인 및 계획
2.3. 빛환경 요인 및 계획
2.4. 음환경 요인 및 계획
Ⅲ. 조사 결과
3.1. 재실자의 생활 패턴
3.2. 열환경 진단 결과
3.3. 공기환경 진단 결과
3.4. 빛환경 진단 결과
3.5. 음환경 진단 결과
Ⅳ. 결론 및 소감
4.1. 열환경
4.2. 공기환경
4.3. 빛환경
4.4. 음환경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1. 조사 배경 및 목적
내가 사는 아파트에서 주거실내환경론 수업을 통해 실내 환경을 열, 공기, 빛, 음환경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 항목이 거주자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와 실내 환경 진단 방법에 대해 알게 되었다.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내가 거주하고 있는 아파트의 실내 환경을 분석해보는 것이 조사의 목적이다.
<중 략>
Ⅱ. 이론적 고찰
2.1. 열환경의 요인 및 계획
실내온열환경이 적절한 상태로 조절되어 열에 의해 스트레스나 긴장을 일으키지 않는 상태를 열적 쾌적 상태라 하며 실내온열환경의 쾌적 요인으로는 기온, 상대습도, 평균복사온도, 기류 등의 물리적 요소와 착의량, 활동량 등의 인체측 요인이 있다. 실내 열환경은 물리적 요소로 조절할 수 있다. 기온은 인체의 체온조절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습도가 너무 높으면 곰팡이 등의 미생물과 집먼지진드기의 번식이 증가한다. 반대로, 습도가 너무 낮으면 입의 점막이 건조하여 감염이 되기 쉽다. 평균복사온도는 주위의 표면온도를 평균한 개념으로 주변의 표면온도에 따라 열복사감 또는 냉복사감을 느끼게 된다. 바닥난방 복사열에 의한 온열감 차이를 분석한 연구
결과 복사열이 인체의 온열감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류는 공기의 움직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대류에 의한 열손실을 증가시켜 체감온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구조체, 환기, 창을 통해 실내의 열이 주택 외부와 교환된다. 실내온열환경을 쾌적하게 계획하기 위해 구조체의 단열설계가 필요하고, 여름철 환기 열손실의 증대를 위해 자연통풍 계획이 필요하다. 창문은 겨울철에는 창을 통한 열획득, 여름철에는 일사차단에 유리하도록 창을 남향으로 하고 일사조절 장치를 계획해야 한다.
주택의 열성능 계획 요소로는 단열, 결로 방지, 통풍설계, 창의 열성능 계획이 있다. 단열은 구조체를 통한 열이동을 막기 위한 것으로 단열성이 좋은 주택은 실내온열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 유리하고 냉난방효과도 좋다.
참고 자료
윤정숙·최윤정(2011), 주거실내환경학, 교문사.
최윤정·심현숙·정연홍(2007), 바닥난방 복사열에 의한 온열감 차이에 대한 실험연구, 한국생 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7(5) : 65-71.
이동훈(2006), 공학도를 위한 소음공학(이론과 실무), 도서출판 아진.
박태준(2014), 다가구주택의 평면유형에 따른 주거만족도 분석 :울산광역시 도심지, 대학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