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부종/심성폐부종 케이스 A+자료/심인성폐부종/pulmonary edema
- 최초 등록일
- 2021.04.21
- 최종 저작일
- 2020.10
- 4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500원

소개글
상급종합병원 순환기계 병동 심인성폐부종 케이스입니다. 간호중재 부분 무척 꼼꼼하게 적어서 교수님꼐 칭찬받고 A+ 받은 케이스입니다! 최종 제출본입니다. 과정3개
목차
Ⅰ. 문헌고찰
Ⅱ. 간호과정
1. 전반적인 건강상태 사정
2. 구체적인 간호사정
3. 진단검사 해석결과
4. 약물치료 현황
5. 간호진단 목록
6. 간호과정
7. 사례연구 요약
8. 교육계획안
9. 출처
본문내용
1. 병리생태
폐부종(pulmonary edema)은 폐순환에서의 정수압과 교질 삼투압의 불균형 상태로 발생한다. 정수압과 교질 삼투압의 평형이 깨질 때 체액은 폐 모세혈관으로부터 사이질 공간으로 빠져나온다.
폐부종의 가장 흔한 질환은 급성 심근경색(AMI, Acute Myocardial infarction)이며 경색 심장의 펌프기능 저하로 심부전(heart failure)이 일어나며 좌심부전이 흔하다. 좌심실에서의 혈액 박출량이 감소되면 좌심실의 이완말기압이 상승되고 좌심방에서 좌심실로의 혈액 유출이 어렵게 되어 좌심방의 압력도 증가하게 된다. 이것은 역 전달되어 폐정맥압 상승, 모세혈관의 정수압이 높아져 장액성 및 혈성 체액이 폐모세혈관 내피를 통하여 폐간질강과 폐포 내로 누출된다. 점차 세기관지강과 기관지, 심하면 기관에 누출액이 새어 들어가서 흡기 때 공기의 유입을 막게 되며, 이때 신속한 치료를 하지 않으면 심한 호흡부전으로 사망하게 된다.
<중 략>
6) 대상자의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간호를 계획, 수행 및 평가
참고 자료
서울대학교 의학정보 https://www.snuh.org/
삼성서울병원 의학정보 http://www.samsunghospital.com/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http://health.cdc.go.kr/health/Main.do
약물 정보 : 킴스온라인 http://www.kimsonline.co.kr/
김금순 외(2014), 『간호사를 위한 약리학』, 수문사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Ⅰ,Ⅱ』, 수문사
양선희 외(2019), 『기본간호학Ⅰ,Ⅱ』, 현문사
원종순 외(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