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행본
· 김봉주, 《현대과학으로 본 기,물》, 충남대학교 출판부, 1999.
· 김인규, 《홍대용》,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8.
· 마루야마 도시아끼, 박희준 역, 《기란 무엇인가-논어에서 신과학까지》, 정신세계사, 1989.
· 마에바야시 기요카즈 외 2인, 박문현 역,《기의 비교문화》, 한울, 2006.
· 박삼영, 《기철학을 넘어서》, 라브리, 1991.
· 안은수, 《주희의 자연관 형성의 두 원천》, 문사철, 2009.
· 야마다 케이지, 김성근 역, 《주자의 자연학》, 통나무, 1977.
· 오민영, 《청소년을 위한 동양과학사》, 두리미디어, 2007.
· 정성희, 《조선시대 우주관과 역법의 이해》, 지식산업사, 2005.
· 정용환, 《장재의 철학》, 경인문화사, 2007.
· 정인경, 《청소년을 위한 한국과학사》, 두리미디어, 2007.
· 정진일, 《도가철학개론》, 서광사, 2001.
· 함현찬, 《장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3.
· 연구논문
· 권일찬, <동양과학론>, 한국정신과학학회, 《한국정신과학학회지》, 제 8권 제 1호(통권 15호), 2004.
· 김문용, <조선후기 서학의 영향과 우주론적 시공 관념의 변화>,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시대와 철학》, 제 18권 3호, 2007.
· 김영식, <조선 후기의 지전설 재검토>,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동방학회》, 제 133권, 2006.
· 김용헌, <김석문의 과학사상>, 범양사, 《과학사상》, 제 33호, 2000.
· ______, <서양 과학에 대한 홍대용의 이해와 그 철학적 기반>, 한국철학회, 《철학》, 제 43집, 1995.
· 문중양, <조선후기 실학자들의 과학담론, 그 연속과 단절의 역사>,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신문화연구》, 제 26권 제 4호(통권 93호), 2003.
· 안영석, <성호 성리설의 전개와 변용>, 동양철학연구회, 《동양철학연구》, 제 41집, 2005.
· 임종태, <[역비논단] 무한우주의 우화-홍대용의 과학과 문명론>, 역사비평사, 《역사비평》, 통권 71호, 2005.
· 홍대용, <의산문답>, 《담헌서》상.
· 전자자료
· <고대 동양의 천문관>, 《Dol's Fantasy》, <http://www.dol.pe.kr/cosmos/cos_think.htm>, 2010. 11. 13.
· <內經시대의 우주관>, 《동국대학교 홈페이지》, <www.google.co.kr/url?sa=t&source=web&cd=18&ved=0CCsQFjAHOAo&url=http%3A%2F%2Fwwwk.dongguk.ac.kr%2Fprof%2Ft01%2Fpds%2Fdown.php%3Fprofcode%3D19978632%26tp%3D06%26number%3D14826%26dir%3D19978632_files%26file%3D%25D2%25AE%25CC%25E8%25BD%25C3%25B4%25EB%25C0%25C7%2520%25BF%25EC%25C1%25D6%25B0%25FC.hwp&rct=j&q=%EA%B6%81%EC%B2%9C%EC%84%A4&ei=CvTQTIPTGomisAOokLCTCw&usg=AFQjCNFjrI4MzTNvH4kz_hf72WxYkajY_w&cad=rjt>, 2010.11.13.
· <에너지>, 《네이버 백과사전》,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6417700&re=y>, 2010. 11. 13.
· dasi, <도교와 도가/도교의 역사>, 《경세학교》, 2010. 8. 10., <www.bangha.kr/cgi-bin/bangha/board.php?board=m0705&page=1&command=body&no=46>, 2010. 11.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