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배,『고령화 사회의 위기와 도전: 노인 보건의료와 사회복지 서비스의 통합,』나남출판, 1995.
· 민경국,『하이에크, 자유의 길: 하이에크의 자유주의 사상 연구,』한울, 2007.
· 양정하,『사회복지발달사,』 학현사, 2008.
· 여유진,『공공부조의 가치기반과 제도적 반영: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형성과정을 중심으로,』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4.
· 이현주,『공공부조와 사회복지서비스의 체계분석 및 재편방안,』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3.
· 장영수,『헌법학,』홍문사, 2019.
· 전광석,『한국사회보장법론,』법문사, 2003.
· 통계청,『2017년 가계금융 · 복지조사 결과,』2017.
· 통계청,『2018년 3/4분기 가계동향조사(소득부문),』2018.
· 허영,『한국헌법론,』박영사, 2016.
· 마이크 데이비스,『자본주의, 그들만의 파라다이스,』유강은(역), 아카이브, 2011.
· 앤서니 B. 앳킨슨,『불평등을 넘어,』장경덕(역), 글항아리, 2015.
· 에스핑앤더슨,『복지 자본주의의 세 가지 세계,』박시종(역),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7.
· 토마 피케티,『21세기 자본,』장경덕(역), 글항아리, 2013.
· 구정태, “우리나라 사회복지정책의 분권화: 분권교부세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법제학회 통권 제1호, 2010.
· 김명용, “독일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법적 문제,” 공법학연구 제15권 제1호, 2011.
· 김미곤, “외국의 공공부조제도 비교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 김미란 · 이경훈, “노인의 AGING IN PLACE 증진을 위한 종합지원센터 도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34(5), 2018.
· 김용태,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복지의 헌법적 연구방향 고찰,” 법학논총 31, 2014.
· 노기현, “노인복지행정에 있어 “지역포괄케어시스템”의 구축에 관한 검토,”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연구 54(4), 2013.
· 박정연, “노인의 주거권에 대한 규범적 의미의 재탐색: 건강보장의 관점에서,” 법학논총 29(2), 2016.
· 박현식,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법제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학연구 51, 2013.
· 신우 덕, “한․독․일 장기요양보험제도의 비교분석과 시사점 고찰,”한양고령사회포럼, Vol. 1, 한양
· 대고령사회연구원, 2011.
· 원승연, “가계의 금융부채가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정책 제22권 제3호, 2015.
· 이명현, “스웨덴 사회부조 정책의 전개와 과제,” 사회복지법제연구 통권 제3호 2012.
· 이석규, “마드리드 고령화 국제행동 계획,” 노인복지연구 17, 2002.
· 이현주, “스웨덴 공공부조제도의 현황과 이슈,” 보건복지포럼, 2016.
· 임정기 · 최명민 · 김욱,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의 케어매니지먼트 기능과 운영에 대한 인식연구,” 한국사회정책 제18권 제3호, 2011.
· 전용호,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서비스 질 관리 개선에 관한 연구: 영국의 질 관리 시스템과 그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사회복지정책 제33권, 2008.
· 홍성방, “독일기본법과 사회적 기본권,” 서강법학 제11권 제2호, 2009.
· 홍일선, “고령사회를 대비한 헌법적 논의: 국가의 노인보호의무와 노인의 사회적 기본권을 중심으로,” 공법학연구 9(2), 2008.
· 황정하, “미국의 복지개혁법(PRWORA) 이후, TANF의 집행체계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법제연구 제7권 제2호, 2016.
· 황정훈, “분배의 정의 실현수단으로써 공공부조수급권에 관한 연구,” 호서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8.
· 황정훈, “헌법상 기본권에 근거한 현대적 재분배 방식에 대한 고찰,” 법이론실무연구 제6권 제4호, 2018.
· 황정훈 , “고령사회에서 노인의 자기개발권 실현에 관한 연구,” 법이론실무연구 제7권 제1호, 2019.
· 田畑茂二郞,『國際法講義(上),』有斐閣, 1984.
· 広井良典,『日本の社会保障,』 岩波新書, 1999.
· 広井良典,『ポスト資本主義 ― 科学・人間・社会の未来,』岩波書店, 2015.
· 塩野谷祐一,『経済と倫理―福祉国家の哲学,』東京大学出版会, 2002.
· 西村健一郎,『社会保障法,』有斐閣, 2008.
· 沼尾波子,『地域包括ケアシステム構築と行政の役割,』産業経営プロジェクト報告書35巻2号, 2012.
· 畑本裕介,『社会福祉行政のこれから-<社会保険>化と行政空間の変容,』人間福祉学部紀 要(山梨県立大学)7号, 2012.
· 柴田嘉彦,『日本の社会保障,』新日本出版社, 1998.
· 小田兼三,『コミュニティケアの社会福祉学―イギリスと日本の地域福祉, 』勁草書房, 2002.
· 武川正吾,『連帯と承認 グローバル化と個人化のなかの福祉国家,』東京大学出版会, 2007.
· 棚瀬孝雄,『権利の言説―共同体に生きる自由の法,』勁草書房,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