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사(이헌창 저) 서적 中 전근대(선사~조선시대 후기) 요약 정리
- 최초 등록일
- 2021.02.16
- 최종 저작일
- 2017.08
- 3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한국경제사(이헌창 저) 서적 中 전근대(선사~조선시대 후기) 요약 정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장
1. 연구대상
2. 학습의의
3. 연구 방법
4. 한국경제사학의 전개과정
Ⅱ. 제1장. 중세사회의 성립과정과 기본구조
1. 한국 전근대사의 시대구분론
2. 중세사회의 성립과정
Ⅲ. 제2장. 중세농업의 구조와 변동
1. 중세경제의 탐구방법
2. 농업 기술의 발전
3. 인구의 변동
4. 토지소유의 진전
5. 노비제의 변화와 임노동층의 형성
6. 농업경영조직의 변화와 소농경영의 성장
7. 중간지배집단의 변천
8. 국가 재정과 조세 수취
Ⅳ. 제3장. 시장의 성장
1. 경제통합원리의 변화와 시장의 형성
2. 화폐경제의 성장과 물가의 변동
3. 지방 장시의 성장
4. 포구상업의 성장
5. 도시시장의 발전
본문내용
1. 연구대상
·한반도 거주 주민, 한민족이 세운국가
·맬서스의 함정 : 인구증가는 기하급수, 식량증가는 기하급수 → 전근대에서는 인구증가가 식량자원의 부존에 의해 제한이 걸리는 상황
·쿠즈네츠의 ‘근대적 경제성장’ : 3%이상의 지속적 경제성장
·근대경제 성장의 원동력 : 물적 자본(기계·원자재) → 인적 자본(교육, 지식)
-전근대 : 생산요소 투입의 증가 = 산출 증대
-경제 성숙↑ → 요소생산성의 기여↑(단기 : 투입증대, 장기 : 기술진보)
-정보↑ → 거래비용↓(탐색비용, 정보의 비대칭↓)
-★제도 : 경제의 장기적 성과 결정(with 기술)
·배분체제 : 경제의 성과를 결정하는 핵심 제도
-근대화 : 호혜적 배분체제(+재분배) → 시장(사적 이익) 배분체제
-호혜적 배분체제 : 평등 // 시장 배분체제 : 효율
·근대적 변혁 : 시장 → 지배적 배분기구 → 공업화 → 경제성장
2. 학습의의
·현대사적인 관점에서 과거를 되돌아보게 해줌
3. 연구 방법
·고전학파 : 역사와 제도에 주요한 관심 (↔신고전학파는 역사·제도에 관심x, only 과학화)
·신고전학파 : 순수한 과학의 지향(수학, 통계적 기법 도입)
·독일역사학파 : 경제발전 단계론(각 역사단계에 맞는 정책적 처방) →리스트(F. List) ‘유치산업 보호론’
·마르크스 경제학 : 史的 유물론
-상부구조 : 정치·문화 // 하부구조 : 경제 → 상부+하부=‘사회구성체’
-역사의 발전 : 지배적인 생산양식 교체 → 사회구성체의 변화
사회구조 변혁의 원인? 생산력의 발전+기존 체제의 반응
-낮은 분석력 (compared to 신고전)
·베버 : 문화(정치·종교·법) → 경제
·주류경제학(⊃신고전학파)
-정태적 분석 치중 → 역사적 분석x
-WW2 이후, 선진국의 경제재건·신생독립국의 경제발전 → 장기 경제성장 중시
-쿠즈네츠 : 성장사학
-포겔 : 계량경제사(주류경제이론에 대한 가설과 검증)
참고 자료
없음